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돼요. 실제로 2016년 9월 9일엔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하면서 그 근처에 규모 5.3의 지진이 관측되기도 했답니다.규모 5.8은 어느 정도의 세기일까요? 지진의 규모를 측정하는 단위인 ‘리히터 규모’는 지진계에 기록되는 진폭을 이용해 구해요. 규모가 1씩 커질 때마다 진폭은 10배씩 증가하고, 지진의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안전지대가 아니다?12일의 경주 지진은 1978년 전국에 지진계를 설치해 본격적으로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일어난 가장 큰 규모예요. 또 바다가 아닌 내륙 땅 아래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사람들이 크게 놀랐어요. 경주 지진 뒤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답니다 ... ...
- [과학뉴스] 지구를 닮은 가장 가까운 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수 있는 첫 행성이 될 거예요.연구팀은 유럽남부천문대에 있는 반사망원경이 16년 동안 관측한 결과를 토대로 프록시마 b를 찾아냈어요. 지구의 1.3배 크기로, 대기가 있을 경우 표면 온도가 30~40℃ 정도일 것으로 보고 있지요. 물과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거예요.앙글라다 교수는 “인간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관측됐어요. 지난 7월 19일, 미항공우주국(NASA)는 “올해 상반기 세계기온이 1880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다”고 발표했답니다.대체 왜 지구 전체가 불덩이로 변했을까요? 미국 조지아공과대학의 이매뉴얼 로렌조 교수팀은 지난해 겨울에 생긴 ‘엘니뇨’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밝혔어요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즐거움 나누기!문제의 23일 밤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걸까요? 계속 날이 흐려 천체 관측이 어렵게 되자 장이권 교수님이 야심차게 준비한 퀴즈쇼가 시작됐어요.“다음 곤충 중 날개가 없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1번 흰개미, 2번 갈루아벌레, 3번 낫발이, 4번 밑들이, 5번 좀, 6번 진딧물. 제한시간은 1분 ... ...
- 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속한 천문대에서 후보 소행성을 발견하면 다른 천문대들에게도 알려서 좀 더 세밀하게 관측하는 거예요. 소행성의 크기와 궤도 등을 계산한 뒤, 충돌 예상 지역에 알려 미리 대비시키려는 거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행성을 막아라!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곳의 망원경을 한꺼번에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특히 기존에 관측된 근지구소행성의 특성을 밝히고 주기를 계산하는 일을 맡고 있지요.한국천문연구원의 최영준 박사는 “소행성이 반사하는 태양빛을 조사해 밝기나 성분 같은 특성을 알아내고 있다”며, “소행성의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지구 평균기온은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지요. 게다가 올해 4월은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한 봄이 됐어요. 미국국립해양대기청(NOAA) 연구진의 분석결과, 올 4월의 평균기온은 14.8℃로 1910~2000년의 평균기온 13.7℃보다 1.1℃나 높았답니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하지만 영원히 지구 주변을 맴돌 것 같은 달이 매년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관측 결과가 있어요. 지구에서 달로 레이저를 쏘면 달에 설치해 놓은 반사 장치에 빛이 반사돼 지구로 다시 되돌아와요. 그 시간을 측정해 지구와 달의 거리를 재는데, 이 거리가 매년 3.8cm씩 길어지고 있지요.이런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H 화산 지진2002~2005년 백두산이 분화징후를 보이면서 한 달에 수십~수백 번씩 지진이 관측됐다. 마그마가 뚫고 올라오는 화도의 길목으로 추정된다. 지하 5km 지점에 마그마가 액체 상태로 모여 있는 마그마 통로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나, 시추를 해 보지 않고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I 화산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