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대해 물어볼 수도 있답니다. 마지막에는 천문대에 올라가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관측하는 시간도 있고요.아, 중요한 걸 빼먹었네요. 퍼즐 대결에서 실력을 뽐낸 분들에게는 멋진 크리스마스 선물을 드립니다. 수학자를 이기고 선물을 받아 간다면 참으로 뿌듯하겠지요? 왼쪽의 안내를 보고 얼른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것이다. 지진은 2005년 말까지 계속됐다. 다행히 화산이 폭발하지는 않았지만 지속적인 관측이 분화 시점을 예측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였다. 중국은 ‘화산조기경보시스템’과 같은 화산 감시 시스템을 2020년까지 구축할 것을 목표로 지금도 백두산에서 일어나는 각종 현상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벌떡 일어나 외쳤어요!“이번 실험은 요구르트 병 로켓이다!”로켓은 인공위성 같은 관측 장비를 우주로 운반하는 비행체를 말해요. 이런 로켓은 비행할 때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하지요. 작용 반작용의 법칙은 A물체가 B물체에 힘을 가하면, B물체 역시 A물체에 똑같은 힘을 반대 방향으로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었지만 크기나 치우친 방향이 정확하지 않았다. 땅속은 인체나 사물처럼 360° 각도에서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성파 탐사, 자기지전류(MT) 탐사, 전기비저항 탐사(위 사진), 중자력탐사 등 다양한 비파괴 탐사 장비가 적용된다.그 중에서도 전기비저항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밖을 넘어서지는 못했다. 이처럼 많은 연구진들이 우주의 등방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관측되는 우주의 등방성이 깨진다는 것은 어느 특정 방향으로 물리적 현상이 특이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슨 이유로 이 우주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지 알고 싶어할 것이다. ... ...
- [과학뉴스] 허블 뒤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완성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새로 태어나는 행성계 등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예정이다. 특히 외계 행성의 대기 성분도 관측할 수 있어 Center향후 외계생명체 탐색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1년 이상 다양한 테스트를 거친 뒤 2018년 10월에 발사할 예정이다. 발사 때의 진동이나 우주의 극저온 환경에 제대로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다. 중국은 국가지진국 지질연구소의 활화산연구센터와 길림성지진국의 장백산화산관측소, 북한은 백두산화산연구소를 통해 백두산의 분화 전조현상을 연구하고 있다.우리나라도 화산재해를 사전에 파악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의 핵심 기술인 ‘화산폭발 감시 및 폭발 잠재성 평가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노벨상이 여러 차례 나오기도 한다. 노벨위원회는 입자물리학의 새로운 입자 예측과 관측에 대해 꾸준히 상을 수여해 왔고, 중성미자 물리학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노벨상을 줬다.위상 응집물리학은 물질을 분류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위상수학을 물리학에 접목시키는 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은하의 분포도 우주 전역에 균일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이전까지 추정했던 것보다 10배 이상 많은, 1조 개가 넘는 은하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콘셀라이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우주의 구조가 어떻게 형성돼 왔는지 확인할 수 ...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00여 개의 흑점이 11년 주기로 생겨나는 것처럼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에서도 별점이 관측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별점은 행성 표면의 5분의 1을 덮을 정도로 크다고 밝혔다. 별점은 전체적으로 태양의 흑점보다 크고 나타나는 수도 더 많았다.와젤린 교수는 “태양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