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건 고등학교 4학년 같다”는 얘기를 하곤 했다.앉아서 듣기만 하는 수업은 수업을 하는 쪽도 지루했는지, 교수님 중에는 “대충 강의해도 어차피 너희는 공부를 잘하니까”라며 잡담만 하다 수업을 마치는 분도 있었다. 잡담이라 했지만, 그중엔 유익한 이야기가 꽤 많았다. 교수님이 요즘 하는 ... ...
- [팩트체크] 새로운 7의 배수 판정법, 기존 방법과 똑같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판정법이라고 소개하기도 했죠.이렇게 두 방식을 비교해놓으니 한쪽엔 -2를, 다른 쪽엔 5를 곱했다는 것 외에는 전체적인 계산 방식이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2와 5는 명백히 다른 수인데요. 이서준 학생은 왜 -2를 곱한 것과 5를 곱한 것이 같은 판정법이라고 말하는 걸까요? 의혹 2 a-2b와 a+5b가 같은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루고 있는 케페우스(Cepheus)자리가 있다. 에티오피아 왕의 이름을 딴 케페우스자리 왼쪽으로는 그의 아내 이름을 딴 카시오페이아자리가 위치한다. 케페우스자리에 있는 거대 오징어 형상을 띠는 푸른색의 행성상 성운(Ou4)과 주변의 붉은 성운(Sh2-129)의 모습을 선명하게 포착했다. 작가가 ...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어 붙인 거대한 거울(주경)이 달려있다. 로켓 안에 탑재될 때는 폴더블폰처럼 거울 한쪽 끝(정육각형 거울 3개)을 접었다가 우주로 나가 로켓에서 분리되면 접었던 부분을 펼친다. 거울을 다 펼치면 지름이 6.5m로 허블의 약 3배다. 집광 면적은 25m²에 이른다. 지금까지 개발된 우주망원경 중 가장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읽혀요● 더 위험한 과학책 더 위험한 과학책랜들 먼로 지음 | 이강환 옮김시공사 | 416쪽 | 2만2000원 ‘구름 위 저 하늘 높이까지 뛰어올라 볼 수는 없을까?’ ‘우사인 볼트와 술래잡기를 한다면 어떨까?’ ‘이사할 때 집을 통째로 날릴 수는 없을까?’ 과학적 상상력에 ‘정답’은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의 도움으로 겨우 목숨을 건지고, 이후 수술을 통해 새로운 능력도 갖게 됐다.먼저 한쪽 눈을 잃은 기범에게는 루갈의 수술팀이 인공 눈을 이식한다. 그리고 인간의 뇌로는 절대 도달할 수 없는 연산 능력을 갖게 만들기 위해 양자컴퓨팅 칩을 뇌에 심어 인공 눈과 연동시켰다. 드라마에서 이 칩의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안경을 쓰는 건 얼마나 도움이 되겠냐고요. 하지만 그 전문의는 끝내 써라, 말라 어느 쪽으로도 시원하게 대답해주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방법은 하나죠. 일단 비교적 최근에 논란이 된 아지스 카룬아라스네 미국 톨레도대 화학및생화학과 교수팀의 연구 논문부터 따져 보기로 했습니다 ...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각 티슈(뽑아 쓰는 휴지)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이거다!접수 마감일인 4월 6일, 회사 한 쪽에 마련된 스튜디오에서 1차 예선에 제출할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역시 마감일이 닥쳐야 몸이 움직이는 법이죠. 카메라를 셀프 촬영 모드로 놓고, 각 티슈 2개가 놓인 책상 앞에 앉았습니다. 둘 중 한 각 티슈는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실을 확인했거든. 연구팀은 나비 50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 나비의 날개 한쪽에 레이저를 비춰서 열을 가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적외선 촬영으로 비교해 봤지. 그 결과 날개에 닿은 열이 40℃를 넘어가면 날개를 강하게 퍼덕였어. 연구팀은 이 퍼덕임으로 열을 식히는 것이라고 ...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그 결과 연구팀은 쥐의 장에 포도당을 주입했을 때 뇌간에 위치한 고립핵의 꼬리쪽(cNST)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세설팜포타슘을 주입했을 때에는 cNST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고립핵은 체내 장기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영역이다. 연구팀은 추가 실험을 통해 장에서 느끼는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