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일본유학일기] 메이커의 성지, 공방에서 프로젝트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직장인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있었고(이들은 공방에서 창업 상담을 맡고 있다), 또 다른 한쪽에는 자유로운 복장을 한, 소위 ‘오타쿠(좋아하는 한 가지 분야에 몰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오타쿠들은 아두이노, 전자회로 등의 전자부품을 이용해 전기공작을 하고 있거나, 3D 프린터를 이용해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온 외계인 보고서박상준 지음 | 을유문화사 | 336쪽 | 1만5000원 SF(Science Fiction) 장르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어떤 소재가 필요할까. 지구를 파멸시키려는 외계인? 듣도 보도 못한 최첨단 발명품?SF란 이름이 생긴 건 족히 100년은 넘었지만 그 정의에 대한 논쟁은 아직 진행 중이다. 날고 긴다고 하는 ...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유전체와 14개의 미토콘트리아 유전체를 추출했다. 연구팀은 유전체에서 이형 접합성(양쪽 부모로부터 서로 다른 형질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정도)과 유전적 다양성 등을 확인했다. 그 결과 털코뿔소는 멸종되기 전까지 근친교배가 없었고 유전적 다양성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당 기간 ... ...
- [퍼즐라이프] 풀면 갇히고 꼬면 빠진다! 클로버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없죠.그런데 이 문제는 의외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림①-2처럼 세잎클로버의 한쪽 끝에 작은 세 잎 매듭이 만들어지도록 하면 철사와 끈이 기존 매듭을 유지하면서도 고리가 통과할 수 있거든요. 그림①-2처럼 만드는 방법은 여러분에게 맡길 테니 도전해보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폴리매스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예상치 못한 임무가 하나 더 생겼다. 폴라스턴호가 정박한 해빙이 예상보다 빨리 남쪽으로 이동해 급격히 녹았고 7월 30일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게 확인됐다. 극지연구소는 해빙이 붕괴할 가능성이 파악된 이 시기부터 위성을 이용해 폴라스턴호를 옮길 만한 안전한 해빙 후보지를 찾고 있다. 8월 1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교수는 “치료를 위한 게임은 중독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지루한 쪽에 가깝다”며 “중독을 유발하는 보상체계가 거의 없고 단순한 자극으로 주의력을 높이는 것이 주요 목적이어서 중독 위험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치료용 게임의 효과를 맹신해서는 안 된다. 시중에 개발된 치료용 ...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인간을 통제한다고 하면, 왠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세상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런 쪽으로 상상력을 발휘해 본 작품을 살펴보겠습니다. (※편집자 주.본문은 해당 작품의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스포일러를 피하고 싶다면 먼저 작품을 찾아보기를 권합니다.) ● 매트릭스#1. 앤더슨은 평범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속으로 감자가 들어가 막혀 버려요. 감자가 빨대를 막으니 이후로는 엄지손가락으로 반대쪽을 막지 않아도 감자를 쉽게 뚫을 수 있지요. 다른 과일이나 채소도 빨대로 뚫을 수 있을까요? 직접 실험해 ... ...
- [특집] 한 장, 10년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닦기 황당 휴지 문제, 수학에게 물어봐~ 뭉친 휴지와 접은 휴지 중 어느 쪽이 더 효율적이면서 총 휴지를 적게 쓸까요? 황당한 듯 보이는 이 질문은 2019년 미국의 소셜 뉴스 웹사이트 ‘레딧’에 올라왔어요. 유저들은 “당연히 접어야지, 뭉친 휴지로 닦는다는 개념 자체를 이해 못 하겠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다른 예를 들어볼게요. 비대칭 구조의 일부가 손상됐다면 복원하기 쉽지 않습니다. 반대쪽과 구조가 달라 원래 구조가 어땠는지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대칭 구조의 일부가 손상됐다면 쉽게 원래 구조를 유추하고 복원할 수 있죠. 즉 바이러스의 구조가 대칭이어야 빠르게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