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QD·Quantum Dot)의 활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퀀텀닷이라도 크기에 따라 발 ... 그래프). 반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의 WOLED는 각 파장 대역에서 순도가 비교적 떨어진다(오른쪽 그래프) ... ...
- 위아래로 접는다... 2ROUND 폴더블폰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작아 바깥쪽으로 접는 아웃폴딩 방식보다 구현하기가 어렵다. 대신 디스플레이가 안쪽에 가려져 있어 내구성이나 안정성은 더 뛰어나다. 미국 모토로라 레이저(RAZR)도 인폴딩 방식의 상하로 접는 클램셸 디자인이다. 2019년 연말 출시 예정이었으나, 접힘 부분이 매끄럽지 못 하고 결함이 발견돼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묻다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데이비드 쾀멘 지음 | 이미경, 김태완 옮김프리렉 | 584쪽 | 2만2000원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 종의 수는 가늠이 안 될 만큼 많다. 세포 내에 DNA를 가진 세포핵이 있는 모든 동식물과 단세포 유기체를 진핵생물이라고 하는데, 진핵생물의 종류만 1000만~1500만 종일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통계학을 배우는 게 실생활에서 겪는 일을 설명할 때 더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 그쪽 수업을 많이 들었어요. 가설을 세우고 테스트하는 것보다 그 저변에 있는 기초 이론을 중심으로 공부했죠. 진로를 바꾼 이유가 뭔가요?대학 때 이공계가 아닌 여러 학생들과 어울리면서 수학을 공부하는 것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코로나바이러스,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버려지면서 지구를 병들게 하고 있지요. 지난 1월, 환경운동가 마이테 몸포는 스페인 남동쪽 해변에서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을 기념해 생산된 요구르트 용기를 발견했어요. 이 용기는 44년이 지났는데도 상표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멀쩡했지요. ...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과학동아 l2020년 03호
- 1리터)가 필요하다. 이는 한 번 내뱉으면 충분한 수준이다. 상피세포는 면봉으로 입 안쪽을 긁어서 얻는데, 이를 바이러스 수송배지(VTM) 2mL에 희석해서 사용한다. 입안을 한 차례 가볍게 긁으면 검사를 위해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다. 검체에서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찾기 위해서는 중합효소연쇄반응 ... ...
- [아이돌수학] 숙소 방 배정은 수학으로 해결! '레드벨벳'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다른 사람이 온다는 규칙만 지키며 무작위로 배치한다. 임의로 배치한 한 예시는 오른쪽과 같다. 이제 맨 위의 꼭짓점에 배치된 사람부터 차례대로 해당 점에서의 월세 분배를 알려주고 어느 방을 고를 것인지 물어본다. 단, 방을 고를 때 세입자는 원하는 방을 자유롭게 고르되, 월세가 아예 0원인 ... ...
- [가상인터뷰] 비둘기는 머리카락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지게 교수팀이 파리 시내 46개 구역에서 1250마리의 비둘기를 조사한 결과, 한쪽 또는 양쪽 다리에서 발가락을 잃은 비둘기는 276마리로 22%에 달했지요. 그동안 조류학자들은 비둘기가 발가락을 잃는 이유가 감염 때문이라고 추측했어요. 도시의 철조망이나 뾰족한 구조물에 상처를 입은 후, 비둘기 ... ...
- [한페이지 뉴스] 말미잘처럼 쓱~ 집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강해졌다. 물체를 소프트로봇 안쪽 2cm 지점에 넣었을 때는 3.24N의 힘을 발휘했지만, 안쪽 6cm 지점에 넣었을 때는 20.16N의 힘을 발휘해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장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물건의 크기, 모양 등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효율적으로 집을 수 있다”며 “산업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완료된 후, 2년여의 기다림 끝에 러시아로부터 상세설계 문서가 도착했다. 총 2만10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의 상세설계 문서는 부피가 커 옮기는 것조차 힘들 정도였다. 절벽 발사장에 특화된 발사대 나로우주센터의 발사장을 설계하는 일은 베테랑 러시아 전문가들에게도 쉽지 않은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