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일본은 물론 중국에도 해성층이 분포하고 있다. 내가 해안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한 것은
바닷물
에 씻긴 지층들이 내륙의 어디 보다도 잘 나타나 조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한달이 넘도록 조사했으나 담수서(淡水樓) 조개와 소라화석의 산지를 몇곳 발견했을 뿐 기대했던 해성층은 찾지 못했다.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중수소를 다 사용하면 약 1백억년 동안 쓸 수 있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중수소는
바닷물
1t에 1백50g 정도가 존재하고 있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핵과 핵을 충돌시켜야 하는데 지구상에 존재하는 원자는 핵과 전자로 구성되어 매우 안전한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원자를 플라즈마 ... ...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잡거나 무리지어 이동할때 서로 교신하기 위해 음파를 내보내며 소리를 잘 보존하는
바닷물
의 특성상 지상에서의 같은 크기의 소리보다도 더 멀리까지 들린다.그러나 바닷속의 생물들이 내는 소리는 아주 약한 것이어서 조금만 큰 소리가 나도 쉽게 파묻힌다. 지금까지는 빙산파열과 같이 자연적인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마다하고 쇼출연을 거부하기도 했다.동물원 의료진은 그때마다 강릉에서 실어온 깨끗한
바닷물
로 물갈이를 한 뒤 실내온도를 15~17℃가 되도록 배려해 주었다. 또 비타민제 간장약 항생제 소화제를 투여하는 등 그들의 컨디션조절에 정성을 다 쏟았다.특히 날씨가 무덥고 주위가 시끄러우면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썼다는 사실도 그런 배려에서 나온 것이다.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 후박나무를 수년 동안
바닷물
에 담갔다가 소금물에 찌서 진을 뺀 뒤 다시 수년동안 그늘에서 말렸다고 한다. 그리고 판목에 크기대로 다듬어서 글자를 새겼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우리나라가구용 목재의 ... ...
금이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만큼은 아니라는 것이다.물론 우리는 바다의 거대함을 깨달아야 한다. 지구상의
바닷물
은 그 무게가 총 1백40경(京), 혹은 1백40만조(兆)톤 가량 된다. 이는 10억톤의 해수마다 1온스의 금이 있다고 가정했을때 1천5백톤의 금으로 계산되며 그 값은 약 1조7천2백50억 달러가 된다.과거같으면 이와 같은 ... ...
50~1백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물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준다 하더라도 자신들의 구미대로 먹을 때와 같을 리 없기 때문이다.수시로 물개풀장에
바닷물
을 길어 넣어주지만 얼마 안돼 곧 더러워진다. 때문에 동물원에서는 물갈이에 무척 신경을 쓰고 있다. 특히 한 여름철에는 아침에 물갈이를 해 주어도 안심할 수 없다. 배설물이 섞이면 쉽게 썩기 때문에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이다.뱀장어는 피부에 있는 점액세포가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민물과
바닷물
에서 생활할 수 있다. 몸표면의 점액을 닦아내면 그 밑에서 비늘이 나오지만 방수성(防水性)이 없어지기 때문에 몸 안으로 물이 들어온다. 그러면 뱀장어는 곧 죽어 버린다 ... ...
박테리아 광부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요오드를 마음껏 추출하기 힘들다. 그러나 해초는 가능하다. 해초가 방대한 양의
바닷물
에서 그 희박한 요오드를 걸러내면, 인간은 그 해초를 수확하여 태우고, 재 속에서 요오드를 분리해 낼 수 있다. 해초가 바로 인간이 쓸 요오드를 파 내는 광부인 것이다.실제로, 미네랄을 먹고 사는 ... ...
바닷물
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꿈의 배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1’이라 불리는 이 배는 초전도성 전자석이 달린 독특한 추진 시스템을 이용, 빨아들인
바닷물
을 내뱉는 방식으로 파도를 헤쳐 나간다.전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통엔진과 프로펠러에서 나오는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이 배의 장점. 게다가 공기오염이 전혀 있을 수 없다.현재 미완성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