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태평양의 낙원, 진주로 반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갖게 됐고 지난 60년대말 이곳에 진출했다. 진주양식에 있어서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바닷물
의 염도, 플랑크톤의 양, 온도등 여러가지 자연적인 요인도 중요하다. 타이티에서는 흑진주가 가장 많이 생산되지만 이밖에도 여러가지 다채로운 색깔의 진주가 생산되는데 이것은 자연적인 조건이 좋기 ... ...
동경의 에너지 핵 융합 발전의 가능성 점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다음과 같다.△연료인 중수소는 보통 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삼중수소 역시
바닷물
에 있는 리튬으로 부터 쉽게 얻을 수 있다. △핵융합로 안의 연료는 작은양씩 주입되므로 오작동시, 플라즈마가 용기벽을 때리고 냉각되는 것으로 끝나므로 매우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화석연료나 ... ...
오존감소·수질오염, 먹이사슬 약화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펭귄한테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펭귄이 육지에만 계속 있으면 상관없겠으나 일단
바닷물
속에 들어가 기름이 피부에 닿으면 추위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돼 죽어버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상처 받기 쉬운 생태계남극은 많은 종이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다. 먹이사슬의 최초의 것은 플랑크톤이고 ... ...
현장학습 경험 되살려 주입식 교육 탈피 노력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즉 대리석이 된다는 것도 확인했읍니다.또한 야류 해변지역에서 본 기묘한 바위들이
바닷물
의 해식작용에 의해 형성됐다는 설명을 듣고보니 신기한 생각이 들었읍니다. 저는 그동안 풍식작용에 의한 버섯바위만 있는줄 알았는데···신해 : 많은 자극을 받았읍니다. 교직생활 15년 동안 주입식 ... ...
형상기억합금이라는 여의봉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잠수함이나 상륙용함정의 구조재로 사용할 목적으로 가볍고 강하면서
바닷물
에 쉽게 썩지않는 새로운 합금을 개발하고 있었다. 물론 이 작업은 비밀리에 수행되었다.그런데 어느 날 알쏭달쏭한 사건이 터졌다. 한 젊은 연구원이 티타늄(Ti)과 니켈(Ni)의 배합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 제조한 ... ...
앞으로 50년안에 지구기온3℃높아져 생명체가 받을 영향에 대한 예측 무성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이내 기온이 평균 3℃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이같은 기온변화는 극지의 얼음을 녹여
바닷물
을 늘게 하는 등 여러가지 기상변화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지상의 생명체는 직·간접의 무수한 영향을 받게 된다.최근 학계에서는 추측에 불과할지라도 그런대로 과학적인 데이타를 갖고 생명체들이 겪을 ... ...
온실효과아닌「엘 니뇨·라 니냐」의 복합작용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또는 이상저온현상을 일으켜 대기에 교란을 가져온다.현재 우려되고 있는것은 차가운
바닷물
이 아직도 상당한 세력을 갖고 있어 이것이 올봄에 아시아와 북유럽에 기상이변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것이며 언제까지 그 영향이 미칠지 누구도 정확히 ... ...
진주왕국「미키모토」의 전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내서 다른 모진주의 외막(外膜)과 접촉시키는 것. 이런 과정을 거친 조개는 2년동안
바닷물
속에 넣어지는데 이때 상처받고 외부조직과 접촉된 부위에서 '네이커'(nacre·진주의 모체)라는 물질이 생성되며 네이커는 종내에는 진주로 변하게 된다. 1890년에 일본의 해양 생물학자 '미츠쿠리 카키치'씨는 ... ...
서기 2030년까지 사라지거나 거의 파괴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것이라고 말했다.'피터 로이' 교수는 비록 완전히 가라앉지는 않더라고 이들 섬은 담수가
바닷물
에 섞이는 등 생활조건의 악화와 파도가 밀어 닥칠 때의 위험 때문에 사람이 살 수는 없어 이들 섬주민(약3만여명)은 어디론가 떠나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거대한 둑을 섬주변에 쌓으면 문제는 ...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주로 이곳에서 발생한다. 이 호수 주변은 한민족의 발원지의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바닷물
이 섞이지 않은 담수호로서는 지상에서 가장 크고 유라시아대륙의 전체 호수가운데 세번째 큰 규모를 자랑하는 동 시베리아의 바이칼호수.초생달처럼 길쭉하게 몽고 북부에 위치한 바이칼호의 길이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