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하는 그의 발명품은 '신형부류식(浮流式) 김 양식구'. 이름 그대로
바닷물
이 들고나는데 따라 플라스틱 양식구가 오르락내리락 하며 발을 자동적으로 세우고 눕히기 때문에 일손을 훨씬 줄일 수 있다는 것. 이미 일본특허도 받아놓은 터라 일본수산기업에 특허실시권을 팔 수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임헌영 낙동강 하구 지역은 하구언 댐공사 후 민물과
바닷물
이 섞이면서 종이 다양해진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탐사에서 45종 1만7천여 개체를 관측했는데 큰고니를 비롯 고니류가 압도적으로 많았고(6천3백) 혹부리오리 청둥오리 붉은부리갈매기 알락오리 순이었습니다.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용한 원자력과는 달리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을 방출하지 않으며, 원료인 중수소가
바닷물
속에 무한정(
바닷물
1㎥당 34g)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용화 시기는 2050년경으로 예상되며 일본보다는 미국 유럽쪽이 앞서 있다. 해결해야 될 과제로는 초전도자석의 개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잘 알고 있다. 달에 가까운 쪽의
바닷물
은 달의 인력에 이끌리게 되고, 그 반대 쪽의
바닷물
은 인력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지표면 위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우주공간 속의 은하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다. 즉 가까이 있는 두 개의 은하가 조석력을 받게 되면 ... ...
핵융합발전에 큰 진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원자력발전)와는 달리 폐기물이나 공해가 없고 원료를 무한정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바닷물
1ℓ에는 20㎎이상의 중수소가 있음)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핵융합에 '꿈의 에너지''인공 태양''무공해 청정에너지'라는 수식어가 붙어다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그러나 핵융합반응이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유일한 방법이다. 수중음파의 진행속도는 매초 1.5km정도로 전파에 비해 느리며
바닷물
의 밀도가 불균일하므로 음파는 수신해역에 따라 속도가 불안정하고 반사되는 특성이 있다. 또 전파에 비해 주파수가 낮으므로 반송(搬送)되는 정보량도 매우 적고 해상력도 나쁘다. 현대의 잠수정개발과 ... ...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전부 버리고 튜브에 옮겨 비행기편에 싣고 간다.목적지에 도착한 물고기들은 상온의
바닷물
속에 던져지면 수분내에 지느러미를 움직이며 활동적으로 소생하는데, 재미있는 것은 이때 빨리 깨어나지 못한 물고기들은 물에 빠져 죽기도 한다는 것이다.일본 남쪽 끝 도시인 가고시마에서 도쿄까지의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혼합 성격을 띤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주에서도 얻어진다. 이 지하저장고는
바닷물
이 빠지지 않는 진흙층사이에 놓인 구멍많은 사암(砂岩)상에 지금으로부터 약1천5백만년 부터 1천8백만년 전 사이에 형성됐다. 그후 침전물이 쌓임에 따라 이곳에 압력이 가해졌다. 그리고 유기물질이 부식하면서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해수온도를 올리는데 기여한 열의 양을 산정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햇빛 바람 등
바닷물
온도에 영향을 주는 모든 변수를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모델을 활용했다.예상대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해수의 온도는 명백한 차이를 드러냈다. 계절에 따라서도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sea stack)이 발달해 있다. 특히 해식 절벽에서는 타포니(taphoni)가 많이 관찰되는데 이는
바닷물
속의 염분이 풍화작용(salt weathering)을 일으켜 형성된 것이다.이 곳에서 볼 수 없었던 사자바위는 78년의 태풍에 떨어져 나가 만들어진 시 스택으로 지금 현재도 섬이 자연적인 파괴(풍화)과정을 밟아나가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