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곳이 와이키키 해변이다. 이곳은 약 4km에 이르는 고운 모래사장과 수정같이 맑은
바닷물
로 유명하다. 주위에는 고급 호텔과 상가들이 많고 앞바다에는 윈드서핑을 즐기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하와이를 방문하는 사람이면 꼭 가볼 만한 곳으로 하나우마 만(Hanauma Bay)을 꼽을 수 있다. 이곳은 ... ...
고래가 바다로 되돌아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있지 못했지만, 과학자들은 여기서 파키세투스의 이빨이 메소니치드와 닮았으며 얕은
바닷물
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기에 더 적합하도록 변화했음을 알아냈다. 두개골의 다른 부분 역시 고래와 비슷하게 변화돼 있었지만 수중 생활에 적합한 청각기관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그와 비슷한 시기의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식물의 보고를 이룬다.또 제주도가 대만 일본 중국대륙과 한반도의 한가운데에 있어
바닷물
의 흐름이나 철새의 이동에 따라 여러 지역 식물의 씨앗이 들어올 수 있었던 점도 제주도에 다양한 식물이 있는 이유가 된다고 한다. 그래서 제주도는 여러 학자들의 꾸준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이번 ... ...
무더위·가뭄 기상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태평양상의 무역풍이 크게 약화되면서 높은 해수면 상태에 있는 서부 태평양상의 따뜻한
바닷물
이 낮은 동부태평양으로 흐르게 되며,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상승, 중·고위도 지역에서 대기 대순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결과 호주 인도네시아에서는 대규모 가뭄, 인도에서는 여름 몬순 약화로 ... ...
(3) 극한 상황 적응, 새로운 진화 시작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수중인간들은 육지에서 사는 방법을 단기간에 개발한 바 있다. 이들은 풍선같은 데에다
바닷물
을 담아 그 속에서 살며 같이 이동하는 방법으로 육지에서 사는 것이다.1백만년 후가 되면 그로부터 약 1만년 전에 출현했던 삼림거주자와 툰드라 거주자들 간의 공생자들이 더욱 진화하게 된다. 삼림거주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우주연구소가 대기 순환모델로 예측한 2배의 ${CO}_{2}$하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후를 근거로 우리나라 농업 기후자원과 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있었다. 이에 의하면 한반도에서 ${CO}_{2}$가 2배로 증가할 때 강수량이 10-15% 증가하고 재배기간이 늘어나 21세기 중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초전도자석을 개발 중이다. 이 초전도자석을 이용하면 지름 50㎝ 터널에 매분 9만5천 L 씩
바닷물
을 통과시킬 수 있다.MHD에 관한 한 선두주자로 자부하는 러시아에서도 잠수함에 이 시스템을 채용할 것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음이 없는 엔진은 군사용으로 최적의 ... ...
최대규모 열수 플룸, 태평양 동쪽 바다서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가스와 구리나 아연 등의 금속도 다량으로 포함돼 있는 것이 밝혀졌다.열수활동은
바닷물
이 해저 암석의 갈라진 틈으로 들어가 마그마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져 다시 분출되는 현상. 분출공 주변에는 금속광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수광산으로 주목되기도 한다. 또한 이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이는 열대지방의 바닷가에서 이루어진다. 즉 자그마한 호수(lagoon)가 바닷가에 형성되어
바닷물
이 갇히면 증발되어 소금이 되고 이것이 지각변동 때 지하에 묻히게 되는 것이다.이때 호수를 생기게 하는 물질이 바로 생물이다. 열대지방에는 지금도 산호나 스트로마토라이트라는 구조에 의해서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엽록소를 모방하여 탄산가스로부터 녹말을 만드는 일, 질병치료를 위한 핵산 가수분해,
바닷물
속 우라늄 이온 추출 등이 있다.서정헌 교수는 간단한 공정의 경우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면 향후 10년 이내에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라 보고 있다.지난 87년 제정된 한국과학상은 한국과학재단이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