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표면"(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2.11
- 2월 9일자 기사 중 A. 네. 필요한 백신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구제역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VP1 단백질은 돼지나 소의 세포에 달라붙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숙주세포에 기생하는 첫 단추를 꿰는 역할을 하는 셈이죠. 이때 VP1의 종류에 따라 숙주세포의 어떤 단백질에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극소형 저전력 소자 응용의 가능성을 찾아낸 것이다. 원자선은 진공상태에서 실리콘 표면에 1~2㎚로 형성되는 금속선으로, 선폭이 원자 1~3개 수준으로 매우 가늘다. 원자선이 중요한 이유는 앞으로 원자선의 성질을 이용해 전력소비와 발열을 크게 줄인 소자를 만들 수 있고, 궁극적으로 집적회로의 ...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있을 겁니다. 온천 한가운데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수심이 깊은 탓도 있지만, 물 표면에 빛이 닿을 때 파장이 짧은 파란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초록, 노랑, 주황색도 빛의 산란 현상 때문일까요? 아닙니다. 1969년 처음 이 온천에서 테르무스 아쿼티쿠스라는 호열성 박테리아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나노구조물을 만들었다. 먼저 CNT를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나노섬유로 코팅한 뒤 그 표면에 MoS2 층을 만든다. 그 뒤 PAN섬유를 녹여내면 안은 탄소나노튜브, 밖은 MoS2튜브로 이뤄진 나노구조물이 완성된다. 이렇게 만든 구조물을 음극으로 쓴 리튬이온배터리는 기존 MoS2 음극에 비해 리튬이온이 ...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2016.12.21
- 바이러스에는 각각 HnNn형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습니다. 이때 Hn도 Nn도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단백질 종류를 기준으로 붙여진 이름인데, H관련 단백질(전문 용어: HA)이 16종류, N 관련 단백질(전문 용어: NA)이 모두 9종류이며 발견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바이러스 이름을 완성합니다. 둘 중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동료 돈 아이글러 박사가 STM으로 원자 하나하나를 옮겨 만든 'IBM' 로고를 소개하고, 구리 표면의 일산화탄소(CO) 분자가 삼각형 구조에서 안정되는 원리를 활용해 CO 분자들로 논리회로를 만들고 작동하는 방법을 보여줬다. 또한 철(Fe) 원자가 주변 원자와 반대 스핀을 갖는 반강자성(antiferromagnetism)을 ...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동아사이언스 l2016.12.18
- 미세한 화산 폭발 과정에서 표면으로 올라온다. 연구진은 일반적인 다이아몬드는 지표면 밑 150~200㎞ 깊이에서 형성되지만, 대형 다이아몬드는 360~750㎞ 깊이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스미스 연구원은 “다이아몬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맨틀에 용융된 상태로 존재하는 철, 니켈, 탄소 ... ...
- [사이언스 지식IN] 예뻐지고 싶은 그대를 위한 보톡스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시술이라도 전문의에게 받으세요. - GIB 제공 다시 말하면 시술도 수술의 한 종류인데, 표면적으로 두 단어가 주는 느낌은 전혀 다릅니다. 모르긴 몰라도 시술은 수술보다는 덜 아플 것 같고, 회복도 빠르며, 만약의 사태가 일어날 확률도 낮을거라 여겨집니다. 분명 이런 심리적인 요인도 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2016.12.15
- 되는 ‘호헨버그-콘 밀도 정리’를 만들었다. 이들은 개별 전자가 아니라 응집물질 표면의 전자 밀도 분포를 구해 물질의 특성을 밝힐 수 있음을 보였다. 이듬해 미국으로 돌아온 콘은 박사후연구원 루 샴과 함께 밀도함수이론으로 응집물질의 특성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콘-샴 정리’를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2016.12.12
- 같은 최신 분석기기를 써서 복잡한 혼합물을 분리해 구성 성분을 규명했다. 특히 잎의 표면을 덮고 있는 왁스를 집중적으로 연구했고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14쪽에 이르는 논문으로 정점을 찍었다. 에글린턴은 잎의 왁스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분자화석(molecular fossil)’이라는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