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폭발, 강력한 태양 자기장 뚫을 수 있어야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주황색 코일은 다중 자기층이다. 표지 그림을 잘 보면 태양
표면
이 얇은 망으로 덮여있는데 이 망이 태양 겉을 덮고 있는 다중 자기층이다. 그림에서 주황색 코일은 태양 폭발이 일어나는 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네이처 제공 하늘색 코일은 태양 폭발이 일어날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바꾼다. 인디고는 용해도가 낮으므로 분자들끼리 모여 결정으로 석출되는데 이게 섬유
표면
에 닿으면 달라붙어 염색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흡착된 인디고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색이 연하다. 따라서 이 과정을 반복해야 점점 짙은 파란색이 나온다. 쪽의 유전자를 대장균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훨씬 옅기 때문에 층의 색 차이도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의 실패는 비커에서 우유
표면
으로 바로 커피를 부어 전체적으로 너무 많이 섞여버린 게 원인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동영상처럼 숟가락을 잔 안쪽에 대고 여기에 살살 부어 흘러내리게 했다. 우유나 커피의 온도가 논문보다 좀 더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5년 동안 기온이 1.5℃나 올랐다. 모델링 컴퓨터 프로그램에 이런 변화를 입력하자 빙하
표면
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50% 늘었을 것으로 나타났다. 길버트 박사는 “이는 더 많은 물이 갈라진 틈을 통과해 빠르게 얼음을 녹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빙하학자들은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가운데 전염성에 관련된 건 바이러스 껍질을 이루는 당단백질 두 종(Gn과 Gs)로 숙주 세포
표면
의 수용체를 인식해 세포 내로 침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병원성은 숙주의 선천면역계를 교란하는 비구조단백질(NS)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표면
에 쌓이면서 온도가 올라가 1억 도를 넘게 되면 핵융합 반응이 개시되면서 별
표면
에서 격렬한 폭발이 일어난다. 이게 신성이다. 신성폭발이 일어난 뒤에도 백색왜성은 여전히 남아있고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이 계속 들어와 다시 폭발할 수 있다. 이런 별을 격변변광성(cataclysmic variable)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달걀노른자를 갈아 바르거나 돼지고기를 갈아 발라 일정 시간 둔 뒤 필름
표면
을 분석했는데 적외선분광 패턴이 논문의 패턴과 비슷했다며 데이터로 제시했다(필자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다). 논문에서 애벌레 효소의 작용으로 폴리에틸렌이 분해돼 나온 에틸렌글리콜 피크의 실체는 필름에 바른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사이언스’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DNA의
표면
을 금속 입자로 염색하는 ‘ChromEMT’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유사분열 중인 세포 속 DNA의 구조를 관찰했다. 유사분열은 유전체 양의 변화가 없는 세포분열로 생식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의 분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즉 습도에 따라 피부가 습기를 머금어 수화돼 팽창하는 정도가 다르고 아울러 피부
표면
의 수분이 증발되며 온도가 내려가는 속도에도 영향을 주므로 이 둘을 합쳐 지각한 결과 우리는 습도를 ‘느낀다’고 설명했다. 즉 습도 지각에는 기계감각(촉각) 경로와 온도감각 경로가 동원된다는 말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끊임없이 부딪치며 흡수와 방출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서서히 잃고 마침내 태양
표면
에 도달했을 때는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 바뀌게 된다. 이 과정이 대략 십만 년 걸린다. 따라서 오늘 낮 내가 본 햇빛 가운데 10%가 10만 년 전 핵융합 과정에서 생겨난 반물질에서 비롯된다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