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배포를 위해 국제연합(UN)에 전달돼야 한다."만약 다른 천체에서 보낸 TV나 라디오 전파를
포착
하게 된다면 보통 사람들은 우주인이 영어를 쓰는지, 햄버거를 먹는지, 평화주의자인지 등을 묻고싶어 할 것이다"라고 세티연구소의 물리학자인 필립 모리슨은 가정한다.그러나 우리가 이런 질문을 ... ...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전형적인 전투기인 셈이다.이러한 기능을 위해 유선형의 독특한 외형으로 설계돼 적기에
포착
되지 않고, 상대방 적기에 근거리까지 접근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다. 또 이 비행기는 새로운 YF-119엔진을 장비해 실용적으로 후기연소기를 사용하지 않고 초음속 순항비행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 ...
장수말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우리나라 벌 중에 가장 큰 종이 장수말벌이다. 수펄은 40㎜ 정도며 암펄과 일벌은 30㎜ 내외. 장수말벌은 여왕벌 수펄 일벌 등으로 나뉘어 사회생활을 하는 곤충이다. ... 우리나라 인도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다. 사진에는 뽀뽀하듯이 먹이를 교환하는 장면이 생생하게
포착
돼 있다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로부터 로봇에는 많은 기능이 첨부되기 시작한다. 비디오 카메라도 입체영상을
포착
하기 위해 2개씩 달린다. 기동성을 최대로 강조한 로봇이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탄생한다. 기동성이야말로 지식습득의 원천이라고 주장하는 한스 모라백의 사상이 관철된 테러게이터(Terregator)가 만들어졌다. 모든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미국 과학자들이 중수(${D}_{2}$O)를 사용한 일종의 전기분해공정중에서 핵융합반응을
포착
했다는 놀라운 사실이 신문지상에 일제히 보도됐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었다면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사건이 됐을 것이다. 핵융합로가 '산 너머 저쪽'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책상위에 놓여질 수도 ... ...
수염고래, 멸종위기 벗어나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발견됐고 일본 수산청의 조사에서도 태평양 동부와 서부에 서식하는 두개의 집단이
포착
됐다.수염고래의 증가는 고래보호론자들을 들뜨게 해 다른 종류의 고래들도 곧 전멸위기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희망섞인 관측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금지된 고래고기를 맛보려면 아직 많은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어떤 특정한 리듬이나 이유없이 LDL에서 HDL로, 또 HDL에서 LDL로 바뀌는 두 '변덕꾸러기'를
포착
하기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니다.아무튼 최근에는 혈액검사의 결과를 통보할 때 총콜레스테롤치와 HDL을 구별해 알려주기도 한다.생체내에서 콜레스테롤이 어떤 일을 하는가는 19세기 말부터 조금씩 ... ...
특허받은 심전도 손목시계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한다.심전도 시계가 널리 실용화되려면 싸고 가벼우면서도 심장의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
해야 한다. 가격은 아직 미정이지만 발명자는 1백달러 이하로 책정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 모니터에 무거운 컴퓨터를 사용하는 대신 간단한 전기회로를 채택함으로써 경량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경고음을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위해 실제로 터널을 뚫었다 하더라도 조명을 제 위치에 설치하고 장면을 다양한 각도로
포착
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1m 정도의 미니어처(축소)세트로 터널을 제작하는 것이 오히려 낫다. 여기에 레일을 깔고 실제의 인물과 똑같은 모형을 만든 다음 스톱 모션 촬영기법을 활용, 잘 표현하면 ... ...
기계의 비명을 듣는 「전자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미미한 소리가 발생한다. 이 비명이 회전하는 물체 가운데 발생할 때 이를 순간적으로
포착
해 그 파괴를 조기에 감지하는 장치를 일본 나고야(名古屋)공대 오코우치 데이치(大河內楨一)교수가 개발했다.이 비명은 AE(Acoustic Emission)라 불리는데 FM방송과 같은 주파수의 초음파이다. 물론 인간에게는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