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그러나 그 정확한 지점이 어디인지는 몰랐다. 1942년 5월 26일 일본군의 긴급 전문이
포착
됐다. 해독된 내용은 "공격지점은 AF다"였다. 해독은 됐지만 AF지점이 어디인지를 알 수 없었다.미국은 미끼를 던졌다. 미드웨이가 가장 유력한 공격목표이긴 했지만 확신을 할 수 없었다. 미국은 다음과 같은 ... ...
태양주위 감싼 코로나의 신비 벗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때문에 지구의 대기를 관통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 미미한 X선을 우주에서 조심스럽게
포착
하고 있는 것.물론 태양의 플레어(flare)가 맹렬히 타오를 때는 코로나가스의 온도가 1천8백만~5천4백만˚F까지 올라가고, 그에 따라 X선의 강도도 1만배 이상 커지므로 코로나의 관측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감초'였다. 사실 건물 내 또는 주변에서의 인간의 활동, 트럭의 이동, 미세한 지진 등을
포착
하는데는 놀라운 기능을 발휘했다.그러나 광학섬유센서는 전자센서 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갖는다는 것이 개발자들의 자랑이다. 무엇보다 전자센서는 어떤 특정한 한 지점에 전달되는 힘만을 측정하지만 ... ...
「혈액형 성격진단」 근거있는 것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구결과를 과장해서 떠벌리기도 한다.결국 이러한 현상이 사회심리학자들의 눈에
포착
됐다. 근거가 없으며 학설로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없는 혈액형성격관련설이 일반인들에게 인기가 높고 하나의 사회현상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일본 심리학자들은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분비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것이 말미잘의 분비물이라는 증거가
포착
됐다. 또한 이 분비물을 통해 이 공생의 상호의존도가 무척 강함을 엿 볼 수 있게 되었다.이 공생관계는 때때로 계약갱신을 해야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오도케우오를 말미잘로부터 강제로 한시간 이상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음을 여실히 보여 주었다.다이아몬드링의 지속시간은 1초를 넘지 않으므로 순간
포착
이 가장 중요하다.식이 끝날 무렵부터는 전보다 구름이 적었고 점차 하늘이 개어 준비했던 예상 데이터대로 촬영할 수 있었다. 개기일식이 끝나갈 무렵에는 주변의 관광객들이 하나 둘 자리를 떠나고 기념촬영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독일인 헤르츠(Hertz)가 처음으로 전파를 발생시킨 뒤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그 전파를
포착
하는데 성공했다. 이로써 맥스웰의 전자기이론(전기와 자기의 통일이론)은 확정된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맥스웰의 이론적인 예언으로부터 비롯돼 헤르츠에 의해 실현된 전파가 우리에게 미친 영향은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는 감각기에 잡히게 되면 작은 물고기의 운명은 그것으로 끝난다. 먹이의 위치를
포착
한 짐나르쿠스는 정확하게 겨냥을 한 뒤 덥석 문다.5 ②비둘기가 낯선 땅으로부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은 두가지 능력을 초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태양을 보고 방향을 알아내는 능력과 자구의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점화의 첫 단계에 놓인 은하계인지도 모른다. 어쨌건 천문학자들은 매우 특이한 현상을
포착
한 셈이다.부차적인 얘기이긴 하지만 그 빛나는 물체는 첫 관찰에선 놓쳐버리고 만 것이었다. 영·미 연구팀은 적외선 천문위성(IRAS)이 지난 1983년 발견한 희미한 적외선의 공급원이 되는 상대를 밝은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세개의 핀에 접촉시킨다. 이를테면 일단 '냄새'를 맡게 하는 것이다.정확한 지점을
포착
한 로보닥은 구멍을 뚫기 시작한다. 이제부터 로보닥은 순전히 자신의 기억에 의존해 작업을 완수해야 한다. 뼈에 완전히 구멍이 나면 로보닥은 즉시 작업을 멈춘다. 연(軟)조직에 닿는 순간 드릴 끝에 부착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