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TGV, 탈선사고로 오히려 안전도 입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떠 있었던 것. 선로는 정규 점검뿐만 아니라 추가점검까지 했었다. 지반침하는 이때
포착
되지 않은 매우 갑작스러운 것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사고 열차를 운행한 기관사는 운행중 비정상적인 충격을 느끼자 위험을 직감, 비상제동보다 정상제동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했다. 정상제동 거리는 약 2km.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통신선로가 없고 눈에 보이지 않으며 전파처럼 어디서나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중간에서
포착
하기도 힘들다. 첨단감지장치를 가진 첩보위성도 마이크로파는 잡아내지만 레이저는 놓친다.레이저의 또다른 장점은 광파이기 때문에 간섭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통신품질이 뛰어나다는 점. 레이저끼리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동물프로에서 볼 수 있는, 악어의 몸통 위로 물방울이 분출되는 장면이 그 진동을
포착
한 것이다.악어는 공룡의 후손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따라서 고대 생물들은 초저주파 음파를 통신 수단으로 활용했을 것이라는 견해도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공룡들이 초저주파 음파를 사용했을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accretion disk)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방출되는 높은 에너지의 X선을 관측 위성으로
포착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지상에서 관측할 수 없는 이유는 물론 지구의 대기가 X선을 차단하기 때문이다.대표적인 예가 백조자리에서 제일 먼저 발견된 X선을 내는 천체인 백조X-1(Cyg-1)으로, 푸른 별과 보이지 않는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노리는 운동기능이 정확하다. 가령 무엇을 표적으로 해 맞추거나 투사물을 유도하거나
포착
하는 것을 잘 한다. 숨은그림찾기 등. 왼쪽의 단순한 그림이 매우 복잡한 그림 중에 숨겨져 있을 때 이를 찾아내는 테스트에서는 남성이 뛰어나다. 남성은 수리적 추리능력테스트에서 여성보다 우수하다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기대된다.문제는 우주공간에서 분출되는 감마선. 인류가 우주공간에서 오는 감마선을
포착
하기 시작한 것은 30년도 채 되지 않는다. 감마선은 지구 대기권에 대부분이 흡수돼 지상에서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려면 지구대기권 밖으로 나가야 한다. NASA(미국항공우주국)는 91년부터 우주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폭이 약 5천km 가량 되는데, 조건만 좋다면 1백mm 구경의 망원경을 가지고 검은 선을
포착
할 수 있다.토성의 고리는 그 면이 황도면과의 사이에 경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이는 고리의 기울기에도 매년 변화가 생긴다. 토성의 공전주기는 약 30년 걸리기 때문에 15년에 한번 고리는 최대로 넓어진 ... ...
국내지하수 17%가 환경기준을 초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오염은 오염물질의 침입을 예상치 못할 정도로 내부적으로 진행되므로 오염현장을
포착
하는 것이 곤란하다. 지하수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느리고 오염대책을 실시하더라도 그 효과가 나타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등의 이유로 지하수 오염의 설명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지하수 오염물질의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레이더파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송수신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동시에 많은 표적을
포착
할 수 있다. 교전통제소는 위상배열 레이더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해 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적일 경우 미사일 발사대에 미사일 발사 지령을 내리는 기능을 한다. 또 미사일이 표적에 정확히 유도되도록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극단적으로 작고 1초에 다섯번 정도 빨리 움직이는 잔물결 때문인데 이를 눈으로는
포착
할 수 없다. 행성과 같이 시직경이 있는 대상이 이상하게 흐트러진 상으로 보이거나 지름 2-3초의 확장된 별상은 이같은 현상의 결과다.흐린 시상의 근원은 지표에서 2-3km 떨어진 기층까지 올라가는데, 비교적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