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쉽게 볼 수 있는 그림이나 도형의 '보여주기'였다. 대개 그 시작으로 삼는 것은 레이더에
포착
된 상황을 알려주는 모니터 표시그림이다. 바로 그렇게 시작된 컴퓨터 그래픽이 불과 몇 십년 사이 우리가 지금 머리에 떠올리는, 놀라운 시각적 도구로까지 발전했다. 그 중 영화 속에서 컴퓨터그래픽의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테바트론 가속기를 이용한 CDF 실험그룹에 의해 처음으로 t쿼크의 증거가
포착
된 것이다. 질량은 실험적으로 측정되어지는 양으로 표준모형에 의한 t쿼크질량의 이론적 예견은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이론내의 알려지지 않은 물리적 변수 때문이다.매우 큰 질량의 입자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광자(photon)만큼 많이 존재하지만 물질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잘
포착
되지 않는다. 지금 순간에도 태양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가 초당 1천억개 이상 우리 몸을 뚫고 지나가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전혀 느낄 수 없다. 과연 그 질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보통 냄새와 같이 후각센서로
포착
하는 것이 아니라 콧속의 한 기관 수용체에서
포착
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포유류라도 하등동물에서는 페로몬을 감지하는 기간이 남아 있다는 사실은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는 포유류에게도 페로몬이 존재한다는 것을 추측케하는 것이기는 했으나 오랜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전해진다. 프로젝트의 가설에 따르자면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소리의 속도 속에서 변화를
포착
할 수 있는데, 이 변화는 화씨 1백분의 1도 정도의 섬세한 온도 변화를 드러낸다는 것이다.심해저 수천 마일을 가로지르는 이같은 방법은 그 지리학적 범위가 워낙 넓다는 점에서 상당히 특이하다. 그래서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위치를 옮기는 이동발사대에서 발사되므로 걸프전 당시 미군의 최신장비로도 위치
포착
이 힘들었다.스커드 시리즈를 SS-23으로 교체하려는 계획은 SS-23 '스파이더'를 금지하는 INF 조약이 의해 폐기됐다.제인연감 92-93년 판에 다르면 러시아에서 스커드 시리즈의 개량형을 만들고 있다는 확인되지 않은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음을 초음파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은 그것을 들을 수 없지만 박쥐는 초음파를 발생하고
포착
하는 능력이 있어서 깜깜하고 복잡한 동굴속의 길을 부딪히지 않고 날아다닐 수 있다.진동수가 클수록 우리에게는 높은 음으로 들린다. 음정(音程)은 물리적으로 진동수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속력이 30km/초인데 이는 빛의 속도의 1만분의 1이므로 실험장치만 정교하면 그 차이를
포착
할 수 있다.마이켈슨은 빛의 속력을 정밀하게 재는 전문가로서 실험의 정확도는 다른 학자들도 충분하다는 판단에서 실험했다. 1년을 두고 계속 실험했으나 예상되는 결과를 얻는데 실패했다. 즉 그 실험을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는(즉 변화하지 않는) 영역이 아니면 안되는데, 이같이 변화무쌍해서는 공격목표를
포착
하기가 어렵다.그러면 어떤 돌연변이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이는 바이러스유전자에서 A, T(RNA의 경우는 U), G, C의 네종류의 염기치환이 어떤 식으로 일어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문제다.염기는 네가지 ... ...
수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새로운 착시도형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즉 많은 수수께끼에 둘러싸인 시각정보의 한 부분을 과학적수법(수식화)에 의해
포착
한 것이다.착시의 메커니즘이 해명됨으로써 생물의 시각정보처리가 상세하게 해명된다면 로봇 개발 등에서 큰 과제로 떠오르는 화상인식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