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7만년 전 더 극한 환경으로 이동한 인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인류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 안드레아 마니카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간이 다양한 공간에 거주하게 된 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1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어떤 식물은 극지 툰드라에서 서식하고 어떤 식물은 서리 한번에 ... ...
"우러러보던 '과학 영웅'의 중국행…20년 뒤 내 모습 될까봐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국내 주요 과학상을 휩쓸며 차세대 과학자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김근수(42) 연세대 물리
학과
교수의 작심 발언이다. 정년을 맞이한 석학이 중국으로 이동하는 문제가 "미래의 내 모습 같다"며 정부가 과학기술인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그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 ...
빨판으로 유해한 미생물 감지하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통해 부패한 음식을 가려낼 수 있다. 니콜라스 벨로노 미국 하버드대 분자·세포생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코가 없는 문어는 빨판을 통해 부패한 음식을 가려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17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두점박이문어가 자신이 낳은 알 중 일부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능 미적분·기하 선택하면 '이과생'이라는 억지
2025.06.18
인문·사회 계열의 공부에 장애 요인이 되는 것이 절대 아니다. 오히려 현대의 미시경제
학과
심리학을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미적분이 필수 소양이다. 서울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과정에 입학했던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미적분을 몰라서 겪었던 뼈아픈 ... ...
배터리 화재 원인 '열폭주' 막을 전해질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사고의 주요 원인인 열폭주 현상을 억제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고려대는 유승호 화공생명
학과
교수팀이 인 기반의 난연성 전해질 설계 솔루션을 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월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표지논문으로 공개됐다. 지난해 인천 아파트 지하 ... ...
[의학바이오게시판] 툴젠, 종자개발 전문가 성동렬 부사장 영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신임 종자사업본부장으로 선임했다고 16일 밝혔다. 성 부사장은 서울대 농대 원예
학과
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글로벌 종자기업 ‘몬산토’에서 10년간 재직하며 옥수수, 콩 품종 개발에 핵심적 역할을 했다. LG화학에서는 유전자 교정 기술 기반 제초제 저항성 ... ...
암 조직검사 통증 사라질까…머리카락 1000분의 1 나노 침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것으로 기대된다. 치로 치아피니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나노소재·바이오인터페이스
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미세한 나노 침으로 구성된 패치가 전통적인 생검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1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질병을 미리 발견하거나 ... ...
호흡 패턴도 사람마다 달라...정신건강 척도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새로운 척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암 소벨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신경생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람마다 고유의 호흡 패턴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2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개인의 호흡 패턴을 확인할 수 있는 경량 웨어러블 장치를 ... ...
의협 “의대 '족보문화' 왜곡, 의대생 복귀에 도움 안 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출제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며 “족보는 학습 편의를 위한 자발적 정리 문화일 뿐 특정
학과
나 학생 집단을 문제시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또한 “의대생들이 정부 정책에 반발하며 복귀를 미루는 배경은 입시정책 번복, 의료현장에 대한 불신 등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라며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100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민행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장과 윤태현 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변화를 정밀하게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