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통합수능에 시름깊은 고교…논문표절에 묻힌 이진숙 장관 검증
2025.07.16
차이를 보정해준다고 하던 '표준변환점수'도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대학의 인문·사회계
학과
진학을 희망하면서도 수학에서 '확률과 통계' 대신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하는 '문과 침공'도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교육부가 내세우는 '통합'은 허울에 지나지 않으며 사실상 모든 학생이 ... ...
신경계 모사한 반도체로 로봇에 '습관' 구현…자극에 효율적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구현했다. KAIST는 최신현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좌교수팀이 이종원 충남대 반도체융합
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생명체의 감각 신경계를 모사하는 차세대 반도체 기반 인공 감각 신경계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외부 자극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신개념 로봇 시스템까지 증명한 이번 연구결과는 7월 ... ...
양자 터널 안에서 일어난 충돌…전자의 숨겨진 움직임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제어할 수 있는 과학적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김동언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이 양자 역학의 핵심인 전자 터널링 과정의 수수께끼를 최초로 밝혀내고 실험으로 증명했다고 15일 밝혔다. 김동언 교수 연구팀과 C. H. 케이텔 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교수 ... ...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과 투자 기대"…구혁채·박인규에 쏠린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필요할 것이다"고 말했다. 구 차관은 1972년 서울 출생으로 경문고와 한양대 전기공
학과
를 졸업했다. 영국 워릭대에서 기술경영학 석사, 한양대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기술고시 30회 전체수석으로 공직에 입문했다. 과기정통부에서 미래인재정책국장, 대변인 등을 역임했다 ... ...
과기정통부 1차관에 구혁채·과기혁신본부장에 박인규
동아사이언스
l
2025.07.13
거쳤다. 2009년 서울시립대 물리
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2016년부터 서울시립대 물리
학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까지 CERN CMS국제공동연구단 한국대표, 서울시립대 자연과학연구소장, 국제미래가속기위원회(ICFA) IID 패널 위원, 한국고에너지물리학회 학회장을 맡고 있다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안드레아스 헤이놀 노르웨이 베르겐대 생물
학과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논문에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후구동물의 항문이 원래 수컷의 생식구멍에서 유래했으며 이 구멍이 소화기관의 내배엽과 연결되면서 항문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고 말합니다. ... ...
공학자 되고 싶은 여학생 모여라…WISET 여학생 공학주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참가비는 무료이다. 지역별 주요 행사는 화학공학 등
학과
별 랩투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시설 탐방·진로콘서트, 의료생명공학·의약공학 전공체험, 전기자동차 공학탐구 경진대회 등이다. 특히 이번 공학주간은 누구나 이공계 분야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단체 ... ...
30년간 치료제 내성 생긴 곰팡이 증가…폐질환 환자 사망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효과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폴 페르베이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 미생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30년간 치료제에 대한 곰팡이 내성이 강해져 환자 치료에 어려움이 발생했다는 점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9일 국제학술지 ‘랜싯 미생물’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네덜란드에 있는 ... ...
[동물do감] 원숭이도 사람처럼 '싸움 구경'에 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갈등에 주의를 많이 기울였다. 엘리자베스 스터크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생물
학과
교수팀은 원숭이들이 다른 원숭이들이 등장하는 다양한 영상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동물 인식(Animal Cognition)'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네덜란드 영장류 ... ...
인류 최초 관측 'M87 블랙홀' 찌그러진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조일제 관측인프라운영본부 KVN센터 연구원(연세대 천문우주
학과
)은 "기존 예측과 달리 블랙홀 고리가 찌그러진 이유가 블랙홀의 회전보다 블랙홀 주위를 맴도는 물질의 난류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내 뿌듯하다"고 말했다. 이어 "EHT에서 도입하고 있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