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봄 로봇·AI, 초고령 시대 환자 건강 직접 개선…"규제 개선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추세"라고 소개했다. 식사를 돕는 등 다양한 형태의 돌봄 로봇. 강재우 고려대 컴퓨터
학과
교수 제공 해외에선 돌봄 로봇의 의료기기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로봇기업 톰봇의 로봇 반려강아지 '제니'는 독거노인이나 경증 치매 노인에 대한 정서적 지원과 일상 생활을 관리하는 ... ...
포스텍, 차세대 양자 물질 개발·연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물질 및 소자 개발을 위한 핵심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포스텍은 18일 이현우 물리
학과
교수가 센터장인 ‘양자 각운동량 동역학 연구센터’가 문을 열었다고 밝혔다. 양자 각운동량은 스핀처럼 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입자 운동과 무관한 각운동량을 말한다. 양자 각운동량은 양자컴퓨터 등 ... ...
비버, 사람 대신 '18억 규모 댐' 지어…지형 바꾸는 동물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번 일어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젬마 L. 하비 영국 퀸메리런던대 물리지리
학과
교수팀은 동물 수백종의 집단적 에너지를 추정해 지구의 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캐나다에 850m 길이의 초대형 댐을 지은 ... ...
사행 제트기류로 기습 한파…"지구온난화로 흔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중위도 지역으로 빠르게 쏟아진다. 북극발 한파의 전말이다. 김해동 계명대 지구환경
학과
교수는 "북극 찬 공기를 가두는 제트기류는 '풍선'과 같아서 지구온난화로 뜨거워진 남반구 공기의 압박을 한쪽에서 받으면 다른쪽이 쭉 아래로 늘어져 북극의 찬 공기가 남하한다"면서 "이번에는 ... ...
혹 떼러 갔다 혹 붙이고 온다…'병원 내 감염' 제자리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병원 싱크대 배수구는 병원균 저장소 마르가리타 고밀라 스페인 발레아레스제도대 생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병원 싱크대 배수구에 감염을 확산시키는 병원균이 숨어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4일 국제학술지 ‘미생물 프론티어’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에 있는 ... ...
지중해 밑바닥서 역대급 고에너지 중성미자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13.6테라전자볼트(TeV, 1조 eV)의 에너지를 낸다. 중성미자 연구자인 하창현 중앙대 물리
학과
교수는 "LHC 실험이 인류가 입자를 충돌시켜 만들 수 있는 가장 높은 에너지라고 한다면 이번에 검출된 중성미자의 에너지는 그보다 1만 배 이상 강하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지중해 해저 3450m에 ... ...
3300억원 투자받은 美 기업 큐에라, 양자컴 판도 흔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오류 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구조적 한계로 지목된다. 안재욱 KAIST 물리
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중성원자 방식 양자컴퓨터. 안재욱 교수 제공 중성원자 방식은 레이저로 붙잡은 원자 큐비트를 3차원으로 이동할 수 있다. 큐비트를 물리적으로 자유롭게 옮길 수 있으면 큐비트 사이의 연결성이 ... ...
1000년간 고립된 탓…그린란드인 유전병에 취약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맞춤형 의료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앤더스 알브레히트센 덴마크 코펜하겐대 생물
학과
교수팀은 유전자 연구를 통해 1000년전 그린란드에 정착한 소수의 원주민이 거의 이동하지 않고 고립된 채 지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됐다. ... ...
韓 참여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28일 발사…"은하 전체 관측해 외계생명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2일 진행된 우주항공청 간담회에서는 스피어엑스 과학연구 책임자인 제이미 복 칼텍 물리
학과
교수가 영상통화를 통해 천문연의 역할에 대해 소개했다. 제이미 교수는 "망원경 장비 시험에 천문연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며 "대학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시험을 천문연의 극저온진공 장비로 수행해 ... ...
우주망원경 '유클리드', 희귀 우주현상 '아인슈타인 고리'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아인슈타인 고리를 관측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천문
학과
천체물리학'에 공개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은하처럼 질량이 매우 큰 물체는 시공간을 왜곡해 주변 빛을 휘어 모으는 '중력 렌즈(gravitational lens)'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중력 렌즈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