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죄책감"(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타르트, 푸딩을 잔뜩 샀다. 나를 위해서라면 선뜻 사지 못했을, 또 사고 나서도 괜히 죄책감을 느꼈을 품목들을 ‘친구를 위해서’ 잔뜩 살수 있었다. 종이 가방을 가득 채운 아름다운 빵의 모습을 보며 흐뭇했다. 고마워하는 친구에게 내가 사고 싶어서 샀다고 핑계를 마련해 줘서 고맙다고 이야기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아빠 없는 하늘 아래2018.12.16
- 없습니다. 딸에 대한 죄책감과 미안함이 생깁니다. 육아에 크게 신경 쓰지 못한 아버지의 죄책감은 상당합니다. 해외 파병이나 유학, 외국 지사 근무, 장기간의 출장 등으로 딸에게 아버지 역할을 하지 못했다며 속상해하는 아버지가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유전자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결백한 자의 죄책감2018.12.02
- 종신형도 달게 받습니다.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와 집단에서의 고립은, 깊은 수치심과 죄책감을 유발합니다. 죄가 없더라도 말이죠. 조셉 딕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없는 죄’를 고백했습니다. 결백을 끝까지 주장한다면 ‘죄를 저지르고도 반성조차 모르는 불한당’이 됩니다. 하지만 ...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2018.10.17
- 자료를 활용한 것이었는데 일본에서도 이 자료를 내린 것을 뒤늦게 확인했다”고 아무런 죄책감 없이 남 이야기 하듯 지나가버린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변명이 들끓는 여론을 잠재울 수 없었다. 발 빠르게 예방적 차원의 조치를 하려는 시도는 이해하지만 부정확한 자료로 과장되게 포장하여 많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2018.07.28
- 한다. 일상 생활 속에서 “이렇게 많이 먹다니 미쳤나봐!”라고 자학하거나 과한 죄책감을 느끼는 현상 또한 나타난다(Shannon & Mills, 2015). 영어로 'Fat talk'이라고도 하는데, 자신의 몸에 대해 혐오와 부끄러움을 내재화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평소에도 살이나 자신의 몸에 대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오늘도 식욕 앞에서 무릎 꿇었다면... 2018.05.20
- 종종 먹은 것을 모두 토해 내기도 합니다.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마구 먹다가, 이내 죄책감에 시달리면서 괴로워합니다.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서 폭식과 구토는 일과가 되고, 몸과 마음은 점점 망가집니다. 식이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뒷모습. 식이장애는 불과 백년 전만 해도 거의 존재하지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2018.05.05
-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라고 하는 등 자녀로 하여금 부모에 대한 부채감이나 죄책감을 갖도록 하는 언행을 자주 하는 편이다. 한 연구에서는(Bart Soenens, 2006) 이렇게 완벽주의 경향이 높거나 또는 자녀에 대한 분리불안이 심한 부모가 자녀가 그렇지 않은 부모의 자녀에 비해 우울증상과 ... ...
- e스포츠는 글로벌 주류 문화가 될 수 있을까2018.05.05
- 주 소비층인 10~20대도 게임하는 동안 즐거움만큼이나 뭔가 잘못하는 것 아닌가 하는 죄책감이 들 겁니다. 그만큼 아직도 우리 사회는 게임 그 자체를 걱정스러운 눈으로만 쳐다보고 있는 게 아닐까요. 인텔 주최 e스포츠 대회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가 열린 호주 시드니 쿠도스 뱅크 아레나 전경 - ... ...
- 애플은 창작자 몫을 빼앗나?...미묘한 애플뮤직 셈법2017.12.04
- 미디어에 담기던 시절, 음악은 아주 손쉽게 불법으로 복제됐다. 사실 불법 복제에 대한 죄책감도 크지 않았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복제품은 그만큼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고, 손에 쥐는 음반의 매력 때문에 결국 미디어 구매로 이어지는 비중이 높아졌다. 하지만 디지털로 변환되면서 이야기가 ...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위한 행동을 덜 보인다. 이런 사람들보다 ‘나는 나쁜 행동’을 했다며 특정 행동에 죄책감을 한정시킬 줄 아는 사람이 잘못은 고치면 된다며 행동 수정을 비교적 잘 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쁜 인간’보다 ‘나쁜 행동’을 고치는 게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Tangney et al., 2005). 따라서 실수나 잘못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