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죄책감"(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성취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작심삼일을 자책하지 말라 2022.01.08
- 바로잡기보다 멘탈 방어를 위해 문제를 회피하게 만들거나 자기 합리화를 부추긴다. 죄책감과 자기비난은 우울감과 무기력감을 불러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자기 연민에 빠져 감정만 소모하게 만들기도 한다. 즉 여러모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마 90%의 사람들이 다 그럴텐데 새해 목표를 벌써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불안이 만들어내는 착각2021.10.30
- 유색인이 남성이나 백인들에 비해 자신이 충분히 잘 하고 있지 못하다는 죄책감과 자신에 대한 의심, 자신이 사실은 '가짜' 같다는 임포스터 신드롬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이 몸 담고 있는 분야에서는 눈에 띄는 뛰어난 재능이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생각할 때 더 ... ...
- 선사시대 영장류도 당 중독이었을까과학동아 l2021.10.12
- 초콜릿 등 종류도 다양한 달콤한 음식의 유혹에 우리는 쉽게 무너지곤 한다. 약간의 죄책감은 뒤로 한 채로 말이다. 이런 달콤함을 향한 인류의 갈망은 어쩌면 오래된 본능이었는지도 모른다. 초기 에오세(약 5400만 년 전)에 살았던 선사시대 영장류(Microsyops latidens)의 치아 화석에서도 충치의 증거가 ... ...
-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2021.09.25
- 화려한 패션 업계 이면에 파괴되는 환경을 보며 실제로 옷을 만들지 못할 정도로 죄책감을 느껴왔다는 두 디자이너, 소설희 대표와 채연서 대표가 의기투합해 시작했다. 이들은 환경 파괴, 동물권 침해 등 문제를 불러일으키던 기존 소재를 친환경 소재로 대체해 새로운 가능성을 알리는 활동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까만 양을 색출하자는 진짜 까만 양들의 심리2021.08.14
- 또한 한 몫 할지도 모르겠다. 팀이 와해되는 것도 문제지만 자신을 나쁜 사람인 것처럼 죄책감을 가지게 만드는 것 또한 참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다양한 이유들로 ‘까만 양’을 찾아내자며 같은 팀에 있는데 다른 주장을 하는 사람에 대해 불순분자라거나 배신자라는 등의 이름을 씌우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2021.01.19
- 그 결과 사회의 규범을 어기지 말아야 한다는 도덕적 감정인 수치심, 당혹감, 죄책감이 생겨났다고 설명한다. 인간의 자기 길들이기 과정에서는 뇌의 감정 영역과 함께 그 부분을 통제하는 전전두엽의 진화도 일어났다. 본능적 감정 회로는 약해지고 통제 회로는 강해지니 반응적 공격성이 크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2021.01.05
- 진짜라고 보기 어렵다. 불교도처럼 종교적 부담감이 있거나 동물이 희생되는데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한 같은 값에 진짜 대신 가짜를 택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처음에야 호기심이나 희소성에 몇 번 먹어보겠지만 다시 동물고기를 찾게 될 것이다. 아마도 극심한 기후변화나 동물복지농장 ... ...
- [인간 행동의 진화] 애국심의 진화, 국뽕의 진화2021.01.03
- 입증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죄책감 따위는 없다. 초자아에 순응하는 일이므로 죄책감이 아니라 사명감이 더 앞선다. 옳은 일을 하는 것이라 믿는다. 그렇게 비극이 시작된다. 애국심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수많은 역사적 비극을 들춰보면, 과연 애국이라는 가치가 옳은 가치인지 의문이 들 ... ...
- [인간 행동의 진화]밤에 야식이 당기면 먹어야 끝난다 2020.09.20
- ‘본인은 아주 만족스럽다’로 끝날 것이다. 성욕도 마찬가지다. 종종 성욕 자체에 대한 죄책감으로 인해서 성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허락되지 않은 ‘자정의 라면’이지만, 먹고 싶은 마음은 도무지 어쩔 도리가 없다. 마찬가지다. 라면 봉지를 들고 주방 앞에서 어쩔 줄 몰라 하듯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2020.09.10
- 분자생물학이 탄생했다는건 잘 알려져 있다. 벨 또한 맨하탄 프로젝트가 끝나자 그 죄책감과 과학적 호기심의 중첩으로 생물학으로 이동했고, 특히 방사선 유전학과 컴퓨터를 이용한 생물학 등에 관심을 가졌다. 따라서 DNA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관심은 냉전 시대가 열린 로스 앨러모스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