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죄책감"(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플로리다와 나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그곳엔 죽어가는 식물이 있었다. 시든 모습이 오늘따라 유난히 초라했다. 왠지 모를 죄책감을 느끼는데 엄마가 결정타를 날렸다.“선아, 밖에도 좀 나가야지.” *식물 병원으로 가는 길은 험난했다. 태양이 뜨거웠고 발목이 아팠다. 다리를 절며 걸었다. 의사는 분명히 내 다리가 멀쩡하다고 했다. ...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 작지만 큰 ‘용기’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태어나지 못할 거다.'화장품을 다 썼다. 용기는 비었는데 마음엔 뭔가 찝찝한 게 남았다. 죄책감 없는 아름다움을 위해 소비자가, 기업이 고민해야 할 차례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분리배출할 때 우리는 보통 선별장까지를 상상한다. 하지만 분리배출된 폐기물이 왜 모두 재활용되지 않는지 알려면 그 ... ...
- [인포그래픽] 아로마티카의 용기 개선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쓰레기를 양산하는 기업이라는 죄책감은 화장품을 만드는 기업인 아로마티카가 지속가능한 용기를 개발하도록 이끌었다. 용기 개선 과정을 담당한 이석진 아로마티카 크리에이티브2팀 디자이너는 “지구에 이로운 일을 하고 싶다는 사명감이 있었다”며 “다 쓴 화장품 용기가 100% 다시 탄생하도록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살리는 데 필요한 것들이라도 두고 가야지.”“쉽게 죽다니요. 자살자들 대부분은 죄책감과 슬픔, 그리고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었다고요.”“너 되게 인간 같은 소리 한다?”“저는 ‘사람’은 아니지만, 자기 종이 멸종위기 상태에 놓였는데 대체 누가 제정신일 수 있겠어요? 파멸이 예정돼 있는 ... ...
- [SF소설] AI 마이너스 알츠하이머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부업을, 주중에는 일해야 해서? 자꾸 변명을 떠올리는 까닭은 한 변명으로 충분하지 않을 죄책감 때문이었다. 요양원의 베이지색 문은 옆으로 소리 없이 스르르 열렸다. 올해 여든 다섯의 신길자 씨는 침대에서 창처럼 커다란 TV 화면을 보고 계셨다. 어른들을 위해서 자막도 크고, 화면해설 음량도 ... ...
- 당신을 위한 ‘하얀 거짓말’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마취를 해도 고통을 느끼는 치료가 있어요. 마취해서 그나마 덜 아픈 것이죠. 저도 조금 죄책감은 들지만 다 환자를 위한 일입니다. 이렇게 거짓말이라도 해야 환자가 마지막 고통이라 생각하고 참거든요. 움직이지 않고 잘 참아야 치료를 빨리 끝낼 수 있죠. 치료 시간을 줄여야 환자가 고통을 겪는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대하는 사람이 있다. 상관없다. 인공지능은 도구니까. 죄책감을 느낄 필요도 없고 그 죄책감을 합리화하며 인간에 대한 존중을 함께 무디게 만들 필요도 없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아니고 인간처럼 느끼지도 않는다. 인공지능에 인격을 대입하는 건 잘 지은 밥에 칭찬을 해 주면 밥은 스스로를 썩지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장만은 다른 문제를 생각해 봤다.은하계 최후의 변방까지 전파되는 것은 잔혹함일까 죄책감일까. 아니면 아직 체험하지 못한 또 하나의 가치일까.하지만 그 또한 장만이 답을 알아내기에는 벅찬 질문이었다. 우주 어딘가에 존재하거나 앞으로 존재할 고성능 인공지능이나 계산할 수 있는 문제였다.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악성 온라인 범죄,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피해를 줄 수 있는 행동을 저지를 수 있어요. 돌을 던진 사람은 익명성●의 벽 뒤에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피해자는 잊을 수 없는 고통 속에 살아가는 경우도 있지요. 이런 악성 온라인 범죄를 맞닥뜨리면, ‘멈춰!’라고 단호하게 외칠 수 있어야 해요. 악성 온라인 범죄엔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하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매력적인 배양육 베이컨의 광고 문구다. 고기를 먹으면서 죄책감을 한 번이라도 가져본 사람들에게 배양육은 신선한 대안이다. 하지만 동시에 실험실에서 키운 고기를 먹어도 괜찮을지 불안한 마음도 든다. 정말 배양육이 육류의 완벽한 대체품이 될 수 있을까. 놓치고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