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발"(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수도 뉴델리에서 북쪽으로 255km 정도 떨어진 데라둔은 시왈리크산맥 중간에 있어서 해발고도가 435m에 달합니다. 근처엔 히말라야 산맥과 무수리라는 유명한 피서지가 있습니다. 뉴델리 같은 큰 도시와 기차로 잘 연결돼 접근성도 좋죠.남아시아 최고의 산림연구소FRI는 데라둔에서도 아주 유명한 ... ...
- [헷갈린 과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사는 낙타와 달리, 라마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 살아요. 해발고도가 높아 교통이 불편한 이곳 사람들은 수천 년 전부터 짐을 실어 나를 때 라마를 이용했어요. 라마는 보통 50kg의 짐을 8~13km까지 운반할 수 있답니다.라마는 수컷 한 마리와 여러 마리의 암컷이 무리를 지어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의대 공동연구팀은 자동차와 비행기를 이용해 그리스 테살로니키 지역의 해발 0m에서 2000m까지 다양한 고도에서 공기 샘플을 수집해 분석했다.그 결과, 꽃가루 24종과 곰팡이 포자 15종을 발견했다. 이 중 클라도스포륨속(Cladosporium )과 알터나리아속(Alternaria ) 곰팡이의 포자는 모든 고도에서 골고루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닌 땅속에서 겨울잠을 잤다.마다가스카르 섬의 동쪽은 서쪽과 환경이 매우 다르다. 해발 1600~1700m로 고도가 높아 평균 기온이 낮다. 비록 잠시지만 기온이 0℃까지 내려가기도 하고, 아무리 더운 시기라도 30℃를 넘지 않는다. 이렇게 서늘하기 때문에 동부의 여우원숭이는 기온 변화가 심하지 않은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월 2일. 갑작스런 추위로 기온이 0℃ 안팎까지 떨어진 날이었다. 해발 700m 고지대에 자리 잡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이미 겨울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었다. 아직 공식 개장을 하지 않아 관람객이 없는 수목원 안 깊숙한 곳으로 차를 몰고 들어가자, 마치 버섯처럼 생긴 건물이 땅 위로 불쑥 솟아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도를 높인 뒤, 로터(프로펠러)의 각도를 바꿔 고속으로 전진 비행한다. 8분 뒤, 드론은 해발 1200m에 있는 우편함에 도달한다. 우편함의 지붕이 자동으로 열리고, 드론은 동체부에 수납했던 의약품을 내려놓는다. 배달부터 하역까지 전과정이 사람의 조종 없이 이뤄진다.미래의 일이 아니다.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족은 남쪽에 위치한 전남, 경남, 제주도보다 꽃을 늦게 피운답니다. 또 남쪽일지라도 해발고도가 높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의 경우 북쪽의 고도가 낮은 지역보다 개화가 느리구요. 그 결과 우리는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장소에서 진달래 가족의 장관을 감상할 수 있답니다.* 관목식물 : 중심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동남극대륙과 서남극대륙으로 나뉜다. 동남극지역이 해발고도 2000~2500m로 서남극지역(해발고도 약 1000m)보다 높다.남극 중앙해령‘불의 고리’가 얼음대륙을 완전히 감싸고 있다. 지구 전체 중앙해령(길이 6만km)의 3분의 1 가량을 차지한다. 남극 중앙해령은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을 모두 접하고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중독자를 치료하는 신약의 성분이다. 콩고민주공화국 비룽가 산맥에 사는 산악고릴라는 해발 4100m까지 올라 도라지과의 ‘로벨리아’라는 식물을 먹는다. 원주민들 사이에서 코감기와 폐질환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평가하려는 것이다.산사태 나는 순간을 포착한다산사태 관측 시설이 설치된 곳은 해발 1915m 천왕봉을 기준으로 남서쪽의 제석봉과 북동쪽의 중봉, 그리고 산 하부 중산리 계곡 인근이다. 지리산은 육지에 상륙한 태풍이 처음 만나는 고산지대로, 태풍이 지나가면서 많은 양의 비를 뿌린다. 이 때문에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