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마"(으)로 총 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LG CLOi와 랄라큐브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보여달라고 말하면 된답니다~!”클로이 안에는 세계명작동화, 전래동화, 그림책, 그리스 로마신화, 성경책까지 들어있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아들과딸북클럽 콘텐츠를 기획한 이지현 기획자님의 도움을 받아 원하는 동화를 선택해 애니메이션을 보기도 했답니다. “클로이 속 이런 재미난 콘텐츠는 ... ...
- [과학용어] 로봇·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고대 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을 만든 업적으로 유명해요. 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 법률의 기초가 되었지요. 그런데 법전을 이루는 4개 책 중 황제의 칙법을 정리한 은 라틴어로 ‘코덱스(Codex)’라고 불렸어요. 13세기에 ‘코덱스’는 법의 ... ...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바쳐’ 연구를 했죠. 무슨 말인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무비, 스타트! 2000년 전 고대 로마의 기록에도 기생충 감염 증상이 적혀 있을 만큼, 기생충 연구의 역사는 오래됐어요. 19세기에 이르러 영국의 의학자인 패트릭 맨슨이 인체의 기생충 감염을 다루는 ‘열대의학’이라는 학문을 만들면서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굉장히 복잡하고 거창해 보이지만, 사실 이는 과거 유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로마 시대 ‘리쿠르고스 컵(Lycurgus cup)’이라는 독특한 유물이 있다. 평범한 유리컵처럼 보이는데, 빛을 비추면 색깔이 변한다. 빛을 앞에서 비추면 초록빛을, 뒤에서 비추면 붉은빛을 띤다. 이 컵 또한 표면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총 17종의 얼음 결정이 실제로 관찰됐다. 결정의 종류마다 ‘얼음(ice)’이라는 글자 뒤에 로마 숫자가 붙는데, 이중 우리가 흔히 보는 얼음 결정인 육각형 모양은 ‘얼음 Ⅰh’형이라고 부른다. 종종 한 면이 정사각형인 정육면체 (cubic) 구조를 띠는 결정 구조도 소량 발견되는데, 이 결정은 ‘얼음 ...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섞어 콘크리트를 만들었어요. 2017년 일본 도호쿠대학 히사다 마코도 교수는 화산재가 로마 건축물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비결이라는 연구를 발표했지요. 실험을 통해 시멘트에 화산재를 섞으면 콘크리트를 부식시키는 이산화탄소와 염분의 침투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예요. 이 연구를 ... ...
- [가상인터뷰] 게와 새우를 합쳐놓은 듯한 게 화석 '키메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칼리키메라 퍼플렉서(Callichimaera perplexa)’라고 지어주었어. 원래 키메라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무시무시한 괴물로 여러 동물의 신체 부분이 합쳐진 괴이한 모습을 하고 있어. 양의 몸에 사자머리를 하고, 뱀의 꼬리를 갖지. 연구팀은 우리도 여러 생물을 합쳐놓은 듯한 독특한 모습을 ...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기능 검증조차 하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 이때 일본이 가세했다. 일본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밀랍으로 만든 날개를 이용해 태양을 향해 날다가 추락한 이카로스(IKAROS)의 이름을 딴 우주 돛단배 ‘이카로스’를 금성 탐사용으로 개발했고, 2010년 발사했다. 이카로스는 태양풍을 이용해 항해하는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역수로 주어지는 거리의 분포가 성단의 모습을 띠는지 확인했다. 이 박사님은 이 방식이 로마 광장에 있는 수많은 인파 속에서 한국인 관광객 무리를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위에서 잠깐 내려다봤을 때는 한국인들만 따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움직이는 방향과 그들 사이의 거리까지 알 수 ... ...
- 탐험┃소행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소행성 2014 MU69(울티마 툴레)를 약 3500km 거리까지 접근했다.울티마 툴레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말로 ‘극복의 땅’을 뜻하며, 당시 알려진 세상의 경계인 먼 북쪽 지역을 말한다. 최대 길이가 35km가량인 눈사람 모양의 얼음형 소행성으로 확인된 울티마 툴레는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당시의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