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로마"(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5
- 피치블렌드)으로 얻는다. 섬우라늄광에 들어있는 천연 우라늄 산화물은 고대 로마시대부터 노란색 도자기 유약과 채색 유리를 만드는 첨가물로 사용됐다. 1789년 독일의 과학자 클라프로트는 피치블렌드에서 처음 우라늄을 발견했다. 당시에 피치블렌드는 아연, 철, 텅스텐이 섞인 광물로 알려져 ... ...
- 원전, 사람들 속에서 함께 소통해야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이에 우리 재단은 정책조사 기능을 강화하고, ‘로마클럽’과 같은 회의체를 만들어 에너지 백년대계를 논의할 계획이다. 또 지역사회의 발전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원자력 모델시티’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맬컴 그림스톤(Malcolm Grimston) 영국 ... ...
-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KOITA l2015.03.06
- 파묻혀서 역설적으로 영원히 살아남은 로마의 도시, 폼페이는 잘 알려졌다시피 고대 로마의 대표적인 휴양지였다. 그것도 일반 시민들이 아니라 원로원 의원이나 명망있는 가문 출신쯤 되어야 올법한 고급 휴양지 말이다. 그렇다고 현대의 멀끔한 리조트를 생각하면 곤란하다. 고대 폼페이는 말 ...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KISTI l2015.02.09
- 같은 윤년을 쌍춘년이라고 한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형식의 달력은 로마의 황제였던 카이사르(Caesar, Gaius Julius, BC100-BC44)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1년을 12달로 나누고 각각의 달에 31일과 30일을 번갈아 사용했다. 1년이 12달인 이유는 1년에 달의 삭망(朔望,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KOITA l2014.12.08
- 물의 공급은 더욱 중요했다. 생활하수 처리에 골치를 썩이던 유럽의 여러 도시들은 로마식을 본뜬 하수관을 설치하여 각 건물에서 나오는 오물들을 처리하려 했다. 영국 런던은 오물 처리를 위해 우선 20가구당 최소 한 개 이상 공중 화장실을 설치하도록 권장했다. 공중 화장실의 오물은 런던을 ...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KOITA l2014.08.08
- 위한 처방이다. 실제 연구자들이 이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했더니 흰색이 나왔다. 고대 로마의 여성들이 흰 피부를 선호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화장품 중에는 2000년의 역사를 지닌 것도 있다. 콜드크림이라 불리는 마사지 크림은 이집트의 크림을 개량시켜 고대 그리스에서 만든 것이다. 피부의 수분 ...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KOITA l2013.12.10
- 이러한 방식은 부유층의 주택인 도무스나 공공건물인 목욕탕에나 적용될 수 있었다. 로마에서 그 흔적이 발견된다고는 해도, 서구의 온돌난방방식은 중세시대에 명맥이 끊겼다. 한국의 온돌이 유독 유명한 이유도 다른 지역과 달리 오랜 기간 명맥을 유지하며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 ...
- 친환경의 키워드, 물과 바람KOITA l2013.08.23
- 만들어두는데, 비열이 큰물이 중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침실을 말 그대로 자는 용도로만 활용했고 대부분 시간은 밝게 햇볕이 들어오면서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는 아트리움에서 보냈다. 또 다른 개방공간인 페리스타일(Peristyle)도 마찬가지였다. 기둥과 ... ...
- 기술혁신으로 본 새로운 기회 탐색 KOITA l2013.07.26
- 불가능하다. 그리고 항상 돈으로 사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4) 환경 문제의 심화 1972년 로마클럽은 성장의 한계(Limit to Growth)라는 보고서를 통해 환경과 자원 관련 미래변화 모습을 전망하면서 현재의 경제 발전 패턴으로는 지속가능하지 않음을 경고하였다. 2102년 포츠담 기후문제 연구소는 ... ...
-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KISTI l2013.06.05
- 콜림파는 잠수 틀에 유리창이 달렸으며 가죽호스가 연결돼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다. 로마인들은 간단한 개인용 장비를 이용했다. ‘물에 뛰어든다’는 뜻을 가진 우리나토레스(urinatores)라는 가죽주머니에 공기를 잔뜩 넣은 후 몸에 매달고 잠수를 했다. 개인용 잠수장비의 시초인 셈이다. 이후 1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