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마"(으)로 총 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수학 원리만 알면 나도 그래픽 아티스트!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덮는 것을 쪽매 맞춤 또는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이라고 한다. 테셀레이션은 고대 로마인들이 쓴 ‘Tesserra’라는 작은 정사각형 모양의 돌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그리스어로 숫자 4를 의미한다. 즉, 쪽매 맞춤은 바닥을 정사각형 돌로 빈틈없이 덮으려면 한 점에 4개의 정사각형 돌이 만나도록 하는 ... ...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기독교만이 맞다고 단정할 수 있겠는가.한 번 시작된 궁금증은 계속 이어졌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으면서는 왜 사람들이 더 이상 제우스를 신으로 모시지 않는지 궁금했다.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면 과연 절대적인 존재라고 말할 수 있는지, 믿음은 신성한 것이라는 말로 넘기기에는 왠지 석연치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럽의 사회 구조와 산업 구조는 완전히 바뀌었다. 이에 따라 미술계에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로의 회귀를 외치며 정확하고 균형 잡힌 미술을 주장하는 신고전주의 미술, 구체적 형태보다는 느낌과 색채를 중시하는, 현실보다는 인간의 감정을 중시한 낭만주의 미술 사조가 차례로 전개됐다. 이후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록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죽은 이에 대한 그리움을 잊기 위해 아편을 복용했고, 로마인들은 양귀비를 수면과 죽음의 상징이라고 여겼다.아편에 들어있는 알칼로이드 성분 중 하나인 모르핀은 중추신경계의 뮤(µ)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결합해 작용하는 신경억제제다. 모르핀은 마약으로 잘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잃었던 피해자의 유해에서 유리 물질이 발견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죠.연구에 참여한 로마제3대학교 귀도 조르다노 교수는 “고대 인류의 뇌가 이렇게 완벽하게 보존되는 일은 흔치 않다”며, “고대 인류 연구의 지평이 넓혀졌다”고 말했어요. 연구팀은 후속 연구로 이번에 유해가 노출됐던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앤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됐습니다. doi: 10.1007/s10068-017-0107-1연구팀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성분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적색 로메인 상추의 1g당 락투신 함량은 약 361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 녹색 로메인 상추는 약 1071μg으로, 적색 일반 상추(약 226μg)와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화(火)를 붙여 화성이라고 부르고, 영어로는 로마 신화 속 전쟁의 신 ‘아레스(Ares)’의 로마식 표기인 ‘마스(Mars)’라고 부른다. 전쟁이 빨간색의 불과 피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태양과 지구의 거리를 1AU(천문단위·1AU는 약 1억5000만km)라고 할 때 화성의 공전 궤도의 평균 반지름은 평균 1.5AU다.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때마다 ‘안녕하세요, 책사입니다’라는 문장을 녹음할 때가 참 설렜답니다.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과학과 철학이 한 몸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다소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설명이 많아 책을 이해하는 데 애를 먹었지만, 동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위해 책의 내용을 몇 번이고 ... ...
- [매스크래프트] #3. 로마의 콜로세움, 왜 타원인거니?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왜 콜로세움을 쉬운 원이 아니라 타원으로 만들었을까요? 거대한 경기장, 콜로세움 로마의 풍자 시인 마르쿠스 마르티알리스가 지은 시의 일부를 보면 콜로세움이 얼마나 거대한 경기장이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야구장인 잠실야구장의 수용인원은 2만 5천 명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오로라, 헤모글로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오로라 여신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여행하며 태양이 온다는 것을 알려요. 이 때문에 고대 로마 시인들은 새벽은 물론이고,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빛을 ‘오로라’라고 표현하곤 했지요.오로라의 빛은 전기를 띤 ‘대전입자’가 지구의 공기와 충돌하면서 나타나요. 이들 대전입자는 태양에서 오는데,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