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알려졌다. ‘마버그’라는 이름은 독일의 마버그
대학
에서 따온 것이다. 1967년 이
대학
의 한 연구원이 우간다에서 수입한 녹색원숭이의 조직을 관찰하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데서 유래했다. 당시 환자 31명 가운데 7명이 사망했으며, 이후 세계 곳곳에서 몇차례에 걸쳐 비슷한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모리스 윌킨스(1916-)였다. 그는 맨해튼계획에 참여했던 핵물리학자로, 전쟁이 끝나자 런던
대학
킹스칼리지에서 바이러스와 핵산을 연구했다. 그리고 윌킨스 곁에는 로절린드 프랭클린(1920-1958)이라는 뛰어난 여성 물리화학자가 있었다. 두 사람은 DNA의 X선사진을 찍어 DNA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었다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4억5천만달러를 지출했다.미·러 달경쟁을 촉발시켰던 케네디는 1962년 9월 라이스
대학
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달에 가려는 것을 선택했다. 그것은 쉬워서가 아니라 어렵기 때문이다. 이 도전을 우리는 받아들일 것이며, 연기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승리할 것이다.” 아폴로 1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양이 최근 크게 늘면서 지구가 급격하게 뜨거워지고 있어 문제다. 1993년 로드아일랜드
대학
에서는 그린랜드의 만년설에 구멍을 뚫어 얼음을 채취한 다음 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1만1천년 전 빙기가 끝나고 간빙기에 들어설 때부터 지금까지의 기온 상승폭은 최근 수십년 동안 일어난 기온 상승폭과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록히드 마틴사가 개발하고 있는 X33 벤처스타를 이용할 예정이다.1962년 케네디는 라이스
대학
연설에서 말했다. “에베레스트산을 오르다 죽은 영국의 탐험가 조지 말로리(1886-1924)는 왜 그곳을 힘들게 오르려고 하냐고 묻자, 그 산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우주도 그곳에 있다. 그래서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로 그 원리를 알아내는 것이 연구의 목표입니다.”서울대와 KIST, 그리고 미국 브라운
대학
에서 분자생물학과 생화학을 전공한 그가 이런 네트워크 연구를 시작하려 했을 때 망설임도 적지 않았다. 무엇보다 기존의 주류를 이루는 연구방법과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다른 학자들로부터 ‘왕따’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주장을 제기한 사람은 담양의 성암천문대 부소장인 박종철씨다. 그는 현재 부산
대학
교
대학
원에서 천문학으로 박사과정을 밝고 있다. 이미 10여년 전 칠성석과 와불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바 있는 박씨는 칠성석과와불과의 관계에서 보듯이 운주사의 신비를 풀 수 있는 열쇠는 천문학에 있다고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로켓(레드스톤을 개량한 것)을 이용해 최초의 인공위성을 쏠 수밖에 없었다. 캘리포니아
대학
소속의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만든 익스플로러 1호는 1958년 1월 31일 지구궤도에 올랐다. 익스플로러 1호의 성과라면 지구 밖에 있는 방사선띠인 밴 앨런대를 발견했다는 것.익스플로러 1호가 지구궤도에 ... ...
선충에서 수명 연장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포함한 동물의 노화과정에 중요한 단서가 될 효소가 발견됐다. 미국 콜럼비아
대학
의 마틴 쉘피 교수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이미 유전자 배열이 밝혀져 유명해진 카에노하브디티스 엘레간스라는 선충을 대상으로 했다. 이 선충은 먹이가 풍부한 상태에서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생명체가 살고 있으리라고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이 행성계를 발견한 펜실베이니어
대학
의 울즈크잔은 더 멀리 제 4의 행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관측결과를 얻었다.또한 지난 4월 미국의 천문학자들이 입실론 안드로메다 주위에서 확인한 행성계는 우리 태양계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 ...
이전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