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신체리듬과 감성리듬 외에 제3의 리듬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5천여명의
대학
생과 고등학생의 성적을 분석한 결과 33일을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는 점을 관찰했다. 지성리듬이 발견된 순간이었다.피해야 할 위험일하지만 인체에는 이 외에도 수많은 리듬이 존재한다는 점들이 속속 ...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천왕성의 궤도가 원인을 알 수 없는 섭동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케임브리지
대학
수학과에서 공부하던 22세의 존 애덤스(1819-1892)는 여덟번째 행성이 있다는 가정을 세우고 2년간 연구 끝에 제 8행성의 질량과 궤도를 계산했다. 계산 결과 1845년 9월 염소자리 델타별 부근에 미지의 행성이 존재할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가장 대표적인 것은 DDT(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1873년 오스트리아의 한
대학
원생에 의해 처음으로 합성됐으며, 60여년 뒤 스위스의 가이기 염료회사에 근무하던 파울 뮐러(1899-1965)에 의해 그 효용이 발견됐다. 뮐러는 1939년 DDT가 뛰어난 살충효과를 지녔으며 동물이나 인체에 직접적인 ... ...
월남 파병의 대가로 생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때였다. 이 말을 귀담아 들었는지 대통령은 이듬해 5월 존슨 대통령을 만났을 때 공과
대학
을 지어주겠다는 제의를 과학기술연구소를 짓는 쪽으로 돌렸다. 이런 연유로 한국과학기술연구소는 1966년 2월 2일 박정희 대통령을 설립자로 세워졌다. 초대 소장으로는 최형섭씨가 임명됐다 ... ...
뇌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할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동물은 주어진 상황에서 상대적인 가치비교를 통해 최선의 선택을 한다고 설명한다. 뉴욕
대학
의 마이클 플라트와 폴 글림셔는 7월 15일자 ‘네이처’지를 통해 원숭이의 뇌에서 일어난 의사 결정 기작은 사회과학적 설명과 비슷하게 선택을 통해 일어난다는 증거를 발표했다. 이는 동물의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촬영하고, 주요한 발견내용을 뉴스시간에 소개하기 위해서다. 촬영한 필름은 캔자스
대학
, 캔자스자연사박물관, 캔자스주의 홍보자료와 관광안내영화에 넣을 계획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공룡전시실에 공룡들을 전시할 때 발굴과정을 단계별로 모니터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보여줄 예정이다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한다. 그 번쩍임을 보는 순간 지구의 생명도 사라질지 모르기 때문이다.최근 서울
대학
교 천문학과 박창범-이명균 교수팀은 북쪽 왕관자리에서 초신성으로 보이는 천체를 발견하고 국제천문연맹에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다. 만약 초신성이라면 별의 진화와 우주의 구조를 밝히는데 획기적인 자료가 ... ...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분야의 공학 전문가들을 모아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소장이 이끄는 성균관
대학
교 연구센터는 전체 프로젝트를 지휘하는 사령탑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김소장은 캐나다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고 전력회사에서 5년간 실무경험을 다진 뒤 1985년 귀국했다. 당시 그의 꿈은 국내 ... ...
실험실의 풀러렌 자연에도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풀러렌이 자연에도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왔다. 이번 연구에서 하와이
대학
의 베커 교수와 연구진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풀러렌을 얻었다.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흑연이나 다이아몬드와 달리 풀러렌은 유기용매에서 추출됐다.베커는 운석 조각을 부수어 넣은 유기 용매에서 풀러렌을 ... ...
우리나라 공룡알 산란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시작됐다. 이전에는 한반도에 어떠한 공룡의 흔적도 알려지지 않아, 양교수는 독일 본
대학
의 에르벤교수에게 알화석의 감정을 의뢰해 공룡알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두번째 공룡알화석 역시 양교수가 찾아냈다. 양교수는 1996년 같은 장소에서 6개 이상의 공룡알 파편이 회색 이암(泥岩) 속에 박혀있는 ... ...
이전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