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결정짓는 뇌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지난 4월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한 연구팀이 쥐의 일종인 햄스터의 뇌에 생체시계를 이식함으로써 수명을 연장시켰다고 밝혀 세계 과학계가 떠들썩했다. 일반적으로 햄스터는 노화로 인해 생체시계의 기능이 떨어지면 3개월 이내에 죽는 ... ...
- 바코드 안전장치 '체크숫자'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물건과 책들에 따라 다니는 바코드는 숫자들이 잘못 읽혀질 위험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갖고 있다. 그것은 무엇일까.출생 신고를 하면서 부여되는 주민등록번호를 시작으로 학교와 직장에서의 번호, 전화 번호, 아파트 동수와 호수, 버스 번호, 전철과 도로 등 우리는 숫자와 생활하고 있다고 해도 ... ...
- 스트레스 받으면 기억력 저하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일시적인 기억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워싱턴대 약학대학의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코티졸’이 기억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코티졸은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농도가 ...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과학동아 l1999년 07호
- 특히 자신이 고안한 9차 마방진은 수학적 탁견을 보여준다. KAIST 수학과 한상근 교수와 대학원생이 공동연구한 결과, 최석정의 9차 마방진은 직교 라틴방진이라는 매우 명쾌한 이론 아래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수학에 대한 이해와 독창성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이 마방진은 9행 9열 대각선의 합이 ...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일정한 크기의 종이를 반으로 계속 자르다 보면 A1, A2, A3, A4 용지를 만날 수 있다. 이들은 어떤 규칙으로 만들어졌을까.복사용지를 포함해 공문서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종이가 바로 A4 용지다. A4 용지의 규격은 297mm×210mm이다. 단순하게 300mm×200mm로 정하면 훨씬 편했을 텐데 왜 이렇게 복잡한 ...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얼굴을 내민 것이다.타운스 이후 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런던대학의 데니스 가보 (1900-1979)는 레이저광을 이용한 홀로그래피를 발명해 197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벨연구소의 아노 펜지아스(1933-)와 로버트 윌슨(1936-)은 1964년 메이저 증폭기를 사용해 빅뱅이 일어났을 때 ... ...
- 라디오파로 영상 전송 가능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전망된다. 방법은 단파인 라디오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방식과 같다.영국 랭카스터 대학과 국방연구평가원의 기술자들이 주축이 된 연구팀은 라디오파가 소리뿐 아니라 데이터도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해 디지털 카메라와 라디오 수신기를 연결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 ...
- 원격수술로봇과학동아 l1999년 07호
- 10월 약7백km 떨어진 거리를 두고 동물의 혈관을 봉합하는 수술을 시연했다. 또 미국의 MIT 대학에서는 복강경 수술을 위한 원격시스템이 개발돼 봉합용 실을 잡고 자르는 동작을 보여줬다.로봇과 사람의 공존공생 시대KAIST의 기계공학과 텔레로보틱스 및 제어연구실은 미세수술용 원격수술시스템을 ... ...
- 2. 달착륙 생방송은 조작극?과학동아 l1999년 07호
- 깃발의 의미를 나름대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1962년 9월 12일 케네디대통령의 라이스대학 연설도 도움이 됐다. “전세계인들은 우주를 보고, 달을 보고, 그 뒤에 있는 행성들을 볼 것이다. 우리는 정복의 깃발이 아닌 자유와 평화의 깃발을 세울 것이다.” 깃발은 단지 상징일 뿐 소유를 나타내는 것은 ...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7호
- 1970년대 초 처음으로 이 총을 시험 제작했던 리차드 마샬 박사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의 동료들은 5m 크기의 레일과 막대한 전류(1백60만 암페어)를 이용해서 초속 6km로 분사되는 레일건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그러나 레일건은 현재 기술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다. 우선 열로 소모되는 ... ...
이전7897907917927937947957967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