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의복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큰 별이었던 캐로더스를 잃었지만 또 하나의 스타를 발굴해냈다. 바로 오하이오 주립
대학
출신의 신출내기 과학자 로이 플런킷(1910-1994)이다. 그는 1938년 4월 6일 우연히 테플론을 발명했다.플런킷은 냉장고에 사용하는 암모니아를 대체할 무독성 냉매를 찾고 있었다. 그런데 실험을 하려고 특별히 ... ...
춤추는 바람개비 별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관측으로 바람개비 모양 별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처음으로 얻을 수 있게 됐다. 버클리
대학
우주과학연구소의 윌리엄에 따르면 이 별은 굴뚝처럼 연기와 먼지를 뿜어낸다고 한다. 강력한 열에 남아있을 수 있는 먼지입자는 거의 없는데 먼지입자들이 별의 중심부 주위를 아치모양으로 회전하고 ... ...
안경으로 착용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컴퓨터 시대가 왔다. 이러한 안경형 컴퓨터를 개발한 사람들중 하나인 조지아 공과
대학
의 교수인 태드 스타너는 아침에 일어나면 기계적으로 안경을 쓰던 것과 같이 컴퓨터를 쓴다. 스타너 교수는 워크맨을 허리에 차고 다니는 것이 일상화된 것처럼 컴퓨터를 안경처럼 쓰는 것도 조만간 새로운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가질 수 없었다.2-3일만 시험관에서 배양이들에게 행운을 안겨준 곳은 케임브리지 의과
대학
이었다. 로버트 에드워즈와 패트릭 스텝토 박사팀은 어머니의 난자를 추출한 후 아버지의 정자와 수정시켰다. 인공수정이나 나팔관수정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정이 몸 밖, 즉 시험관에서 일어났다는 점이다.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성충으로 겨울을 나는 딱정벌레와 같은 갑충류는 좋은 파트너가 된다.”독일 울름
대학
의 고츠베르거 교수가 연구한 결과도 이와 일치한다. 앞서 오델이 남자 성기처럼 생겼다고 묘사한 필로덴드론 셀로움의 꽃은 사실 꽃이 아니고 꽃이 모여 있는 꽃차례(花序)이다. 꽃차례는 수꽃(위), 꽃가루를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물려받았다. 1925년 부다페스트
대학
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1930년부터 미국 프린스턴
대학
에서 강의를 맡고 있었다. 그런데 유럽이 히틀러의 손아귀에 들어가자 졸지에 망명자 신세가 됐다. 그 역시 맨해튼계획에 참여해 원자폭탄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히틀러를 떠난 유대인 중에는 화학자나 ... ...
컴퓨터 회로 1백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회로의 크기를 1백분의 1로 줄인다!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주립
대학
의 화학자 조나단 린세이 박사와 연구팀은 차세대 컴퓨터의 탄생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5개의 분자로 이루어진 와이어로 길이가 9nm(1nm=${10}^{-9}$m) 밖에 되지 않아 회로의 크기를 대폭 줄이는 것이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해결할 뿐만 아니라 특징적인 작은 변동들을 예언했다. 이 예언은 1992년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분교의 조지 스무트(1945-)가 코비(COBE)위성의 관측결과를 통해 확인했다.그러나 인플레이션 이론 역시 우주의 초기에 대해 모든 것을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다. 또 우주의 운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도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갈릴레오와 토성탐사선 카시니 등 태양계 탐사와 관련된 프로젝트가 아이오와
대학
에서 진행되고 있다.혹시 노벨상 수상자로 지명되지는 않았나?노벨상은 기초과학에만 주어지기 때문에 천문학자는 꿈도 꾸지 못한다. 한번도 노벨상 후보로 추천된 바는 없다. 그러나 천문학계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 ...
지구생명은 스스로 탄생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가정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생명이 탄생할 수 있는지 실험하기로 했다. 그 실험은
대학
원생인 스탠리 밀러(1930-)가 맡았다.밀러는 플라스크 안에 원시바다와 같은 상태를 만들어놓고 이를 끓인 다음, 여기서 발생한 수증기가 수소, 메탄, 암모니아와 같은 환원성 대기와 섞이도록 했다. 그리고 마치 ... ...
이전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