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를 통해 정 교수는 뱀딸기 추출물에 생체 내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있다는
점
을 추론했다.정 교수는 배에 물이 차는 복수암, 피부암 등에 걸린 생쥐에서 뱀딸기 추출물의 탁월한 효과를 실험으로 확인했다. 또 뱀딸기 추출물이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암세포만 죽이는 ... ...
3차원 마이크로 영상 시대를 여는 레이저형광현미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원하는 지
점
에 레이저와 사진기의 초
점
을 동시에 일치시켜 공초
점
을 형성하기 때문에 초
점
에서 벗어난 빛에 의한 간섭현상을 최소화시켜 사진이 선명하다.일일연구원은 이 연구원의 설명에 따라 마침내 염색한 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를 레이저형광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변연계 회로의 앞쪽 가장자리로서 전두엽의 아랫부분에 속한다. 지원자들이 매긴
점
수에 따르면 애인을 바라볼 때 로맨틱한 느낌이 에로틱한 느낌보다 훨씬 강했다고 했다. 그렇다면 뇌의 이런 부위가 순수한 정신적인 사랑을 만들어 내는 곳일까.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이 실험에서 활성화된 뇌의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무시당하는 설움보다 몰랐던 것을 배우고 ‘국양표 STM’ 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
이 국교수에겐 더 큰 힘이었다. 그 덕에 STM 개발에 착수한 지 2년만인 1984년 4월 22일 나사에서 소프트웨어까지 직접 만든 ‘국양표 STM’ 으로 실리콘 원자의 표면을 볼 수 있었다.‘뚝딱’ 만드는 일은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관측하면 된다. 그냥 태양을 보면 눈을 다치므로 조심해야 한다. 태양 표면에 약간의 흑
점
들이 보이겠지만, 이것들에 비해 금성은 유달리 더 검고 클 것이다.한편 금성이 태양의 경계면을 통과하는 데는 약 20분이 소요된다. 하지만 태양의 가장자리에서는 뚜렷이 관측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태양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또는 공융정(共融晶)이라고도 한다 어떤 종류의 혼합액체를 냉각시키면 일정한 응고
점
을 보이면서 일정한 성분비의 고체가 석출된다항공기 등에서 지상을 촬영한 공중사진을 이용하는 사진측량 제2차 세계대전 후 급속하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발전과 부작용이 적고 기능이 강력한 면역억제제의 개발로 면역거부반응의 어려운
점
들이 많이 해결됐다. 그렇다면 면역거부반응은 왜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거부반응을 피해나갈 수 있는지 살펴보자.면역활동 통제가 성공 관건 인간을 비롯한 개체가 세균 감염 등으로부터 자신을 ... ...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역시 가설 설정에서 시작되며, 가설에서 얻어지는 예측들을 검증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
을 모르기 때문에 하는 오해다. 사랑이 상대에게 헌신하고 있음을 보증해주는 장치라는 가설이 어떻게 검증되는지를 살펴보자.문학과 진화이론을 접목한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린 로맨스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도전에 나서고 있다.그는 공학박사 출신의 CEO로서 기업의 기술 흐름을 이해하는 장
점
을 갖고 있다. 현재와 같이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CEO가 기술과 시장의 흐름을 감지하는 능력이 탁월해야만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노벨상 꿈나무를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주도권을 빼앗길 수밖에 없다” 고 말한다. 우리와 이들 나라간의 경쟁력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20-30년뒤 지금과 같은 IT기술처럼 경쟁력 있는 분야를 개척해놓아야 한다는게 이 교수의 지론이다.그래서일까. 바이오시스템 학과 교수들은 도전의식과 책임감을 ... ...
이전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