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고래가 올라왔다 되돌아 내려가는 최북단에 위치한다. 또 북태평양의 여러 회유지
점
가운데 적도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기 때문에 대형고래에게는 번식장과 육아장으로 최적지인 것이다.고래의 낙원이었던 한반도 바다사실 고래는 오래전부터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한반도에 살았던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어떻게 반사돼 사물의 형상이 떠오르는지를 설명하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이
점
에서 그림 자체가 하나의 광학 강의가 된 셈이죠.오랜만에 해부도 가득한 카페에서 광학 논문을 읽고 싶은 초현실주의 망상이 떠오릅니다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될 것이다. 서쪽 편 중천에 걸린 달부터 시작하여 2시간 가량 일주촬영을 해보면, 달이
점
차 어두워지면서 달의 일주선 굵기가 가늘어지는 효과를 찍을 수 있다. 개기식이 포함되면 달의 이미지가 가는 붉은 선으로 나타나지만, 이번의 경우는 그 아랫부분이 생략되므로 새로운 느낌을 줄 것이다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큰 차이는 없다. 이들 한반도 토착민들은 이후 시베리아에서 이주한 집단과 섞이면서
점
차 오늘날 한국인의 정체성을 만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석기 시대로 접어들면서 농경이 시작돼 인구가 급증했다. (한국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00년 1월호 특집 ‘첫 한국인은 누구인가’ 참조)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세포망 조직 고립 림프 여포(濾胞)라고도 한다 주로 위 · 장 등 소화관이나 호흡기도의
점
막고유층에 있고 다수의 림프구가 밀집해 있다그 내부를 이차소절(二次小節)이라 하며 유사분열(有絲分裂)을 볼 수 있고 세균의 침입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분자의 바깥 껍질전자(外殼電子)속에서 같은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경판이 옮겨진 흔적이 남아있지 않고 원래 남부지방에서만 자라는 나무들이 사용된
점
등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기 때문이다. 퇴직 후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나무이름의 유래와 근거를 찾은 것들을 정리한 ‘수목도감’ 까지 펴낸다면 박 교수의 지금 계획은 모두 이뤄지는 셈이다 ...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망원경으로는 코마 내부를 상세히 볼 수 있다. 코마 내부에는 빛나는 별같이 보이는 밝은
점
이 보이며 여기서 물질들이 솟아오르는 제트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큰 혜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광경이므로 주의 깊게 관측해 볼 필요가 있다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설립한 조인트 벤처를 통해 2004년에 HAL을 시장에 내놓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 시
점
은 올해 4월에서 5월 사이로 10개의 시제품을 일본이나 해외의 병원, 재활기관에 판매 또는 대여한다는 계획이다. 예상가격은 1백만엔. 조인트 벤처는 내년부터는 한해에 1백대의 HAL을 판매한다는 중기계획을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류석 각섬암 역시 초고압 조건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있다. 주목할
점
은 우리나라 고압 각섬암의 생성 시기는 약 2억3천만-2억5천만년 전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중국의 대륙충돌대에서 보고된 나이와 엇비슷한 결과다. 이는 한반도의 임진강대와 경기육괴에 걸친 지역에서 ... ...
07. 2천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만년이라는 지질학적으로 그다지 길지 않은 기간 동안에 독도 화산체의 대부분이 침식된
점
에 비춰볼 때, 독도는 섬으로서 수명이 다해가고 있는 셈이다. 독도보다 약 2백만년 늦게 만들어진 울릉도 역시 독도와 별반 다르지 않은 미래를 맞게될 것으로 보인다.베개용암물속에서 분출해 베개모양의 ... ...
이전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