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고성능카메라(ACS)가 지난 2월 8일에 찍은 이 사진에는 수조km의 우주공간에 걸쳐
점점
이 빛나는 별들 사이에서 소용돌이치는 우주먼지와 가스가 보인다.허블우주망원경 사진과 고흐 작품은 똑같진 않지만 전체적인 느낌이 굉장히 비슷하다. 다만 둘의 차이는 색조일 뿐이다. 고흐의 그림에는 푸른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실어준 셈이다.원작이 탄탄한 과학적 배경을 가진 콘택트의 경우도 영화에서는 몇가지 허
점
이 발견된다. 대표적 예가 영화에서 여주인공이 헤드폰으로 우주전파를 듣는 장면이다. 우주전파는 가청주파수가 아니기 때문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설정이다. 물론 세이건 박사는 이런 설정에 ... ...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주장은 땅이 융기했다면 외부로부터 힘을 받기 때문에 평행부정합이 생겨날 수 없다는
점
을 강조한다. 외부의 힘을 받았다면 사라진 시기 이전과 이후의 지형이 그렇게 나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땅은 가만히 있고 바다의 해수면이 낮아졌다고 주장한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수면이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화산활동은
점점
더 심해지고 공룡들이 피신할 곳은 자꾸 줄어들고 있었다. 공룡들은
점점
더 생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 백악기 말기까지 살아남았는지는 알 수 없다.하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백악기 말 공룡멸종의 원인을 운석충돌과 화산활동에서 찾고 있다.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서해 벌판에 바닷물이 들어오는 것을 직접 목격했을 것이다.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점
은 우리 조상이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살았던 사람은 아니라는 것이다. 최초 한반도인은 그 전, 수십만년 전에도 있었다. 다만 이들은 한반도에 정착하지 못했던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발생할 수 있는 반면, 베끄렐의 방사선은 이런 에너지 없이도 저절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
에 주목했다. 마리 퀴리는 이런 현상이 어쩌면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의 고유한 특성에서부터 연유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됐다. 그리고는 우라늄광이 아닌 다른 광석에서도 이런 성질이 발견되는지를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무엇일까. 마니아들은 태블릿PC가 노트북 성능에 PDA의 간편함을 가졌다는데 후한
점
수를 준다. 노트북과 휴대단말기의 특성을 고루 갖췄다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 잉크’라는 독특한 필기 입력방식은 태블릿PC와 노트북의 차이를 가르는 기준이다.최근 인기를 모으고 있는 2세대 태블릿은 그간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게재됐다. 베일에 가려져 있던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의 역할을 상세히 규명해냈다는
점
에서 학계가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 모델을 만들어 추가 연구를 진행중이다. 또한 암에 걸린 환자에게서 얻어낸 시료를 분석해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 발현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후 며칠이 지나도 핵반응로의 온도가 위험한 상황에 이를 정도로 높아지지 않는 장
점
이 있다. 반면 냉각재로 물을 쓸때 흑연은 위험하다. 물과 흑연의 탄소가 반응할 수 있기 때문. 체르노빌 사고가 바로 이 경우다. 가스식 원자로는 가스와 흑연의 만남으로 안전성이 보강된 것이다.노 교수의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또 배반포기까지의 배아 복제 성공율은 높은 반면 줄기세포주를 확립한 비율이 낮은
점
도 좀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이번 연구는 정보통신부 IMT-2000 출연금과 과학기술부 세포응용연구 프론티어사업단(사업단장 서울대 의대 문신용 교수)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지난해 2월부터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