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불가능하다는 상대성이론이 무너진다.양자정보의 또다른 특징은 측정이 비가역적이라는
점
이다. 즉 일단 측정을 하면 양자정보의 상태는 변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원래의 상태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없어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없다. 양자정보의 이같은 특성이 도청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새롭게 덧붙이는 과정이 지금도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인류의 지식은
점점
그 능력과 범위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진화해가고 있다. 그렇다면 인류가 공동 구축하는 지구촌가상두뇌(Virtual Global Brain)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코스모피디아가 활용되는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그 모습을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방지해 피부노화의 진행은 물론 이미 노화된 피부상태를 다시 회복시켜줄 수 있다는
점
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세계피부연구학회에 보고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이번 연구는 피부과학분야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학계와 산업계가 협력한 사례가 됐다. 이번 산학협력에 대해 태평양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조금 달라졌을 것 같다. 그동안 우리가 살아왔던 세상에선 태양이 오직 단 하나뿐이라는
점
때문에 유일한 존재로서 특별한 대접을 받아왔다. 그래서 강력한 왕권정치를 펼쳤던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자신의 절대 권력을 태양에 비유했고 젊은이들은 연인을 두고 ‘오, 나의 태양’ 이라 부르며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영역이 보인다.논란의 시발
점
은 이 뿌연 것이 은하수인가, 아니면 성운인가 하는
점
이다. 이곳은 2가지 모두가 복합돼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그 둘을 분리하기 어렵다. 다만 성운이 보이는가 보이지 않는가를 따져봐야 한다. 이 판독에는 펠리칸성운이 보이는가가 중요하다.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빅토르 6000과 유사하다.하지만 한국산 탐사로봇 시스템은 이들과 비교해 몇가지 뛰어난
점
이 있다.우선 수중진수장치가 단독으로 심해를 탐사할 수 있다. ROV는 수중에서 이동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넓은 해역을 빠른 시간에 탐사하기에 부적합하다. 한국산 심해탐사로봇은 ROV를 분리한 상태에서 ... ...
한국형 과학상
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작은 문제들이 있으면 주저없이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얘기한다. 그런 다음 내년부터
점
차 제도화의 기틀도 마련할 예정이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개소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개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대전 1·2공단 환경 개선 사업은 한창 진행 중이다. KAIST 환경공학과 학생 1 ... ...
빛을 찾아나선 사람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문명의 커다란 흐름을 짚어보는 것은 물론 인간의 구체적인 삶까지 두루 만날 수 있다는
점
에서 매우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책은 크게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에서는 지구에 생명이 탄생했던 순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빛이 생물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다루고 있다. 2부에서는 빛의 특성을 탐구해온 ... ...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고르기 때문에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한 정반사가 일어난다. 정5각형의 5개의 꼭지
점
을 연결해 별을 그려보면 한붓그리기가 가능한데, 레이저가 5개의 거울에 연속적으로 반사되는 경로는 한붓그리기 경로와 똑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 ...
호킹 박사, “내 블랙홀 이론 틀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어느 정도 해결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블랙홀도 양자역학의 지배를 받는다는
점
을 인정한 셈이다.호킹 박사의 새 이론은 물리학, 특히 ‘끈이론’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사미르 마튜르 교수팀이 ‘끈이론’에 따라 블랙홀이 입자가 아니라 ... ...
이전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7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