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난자의 융합으로 만들어진 수정란은 세포분열 후 상실배가 되며, 이것은 태아와 태반 모두를 만들 수 있는 ‘전분화능’의 줄기세포를 가집니다. 이후 엄마 자궁에 착상하기 전인 초기 배아(배반포墎lastocyst) 시기, 전분화능의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영양막줄기세포 ... ...
- [융복합 파트너@DGIST] 퀘스터, 미션 깨는 가상 실험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잠시 고민하던 이 대표는 고개를 끄덕였다. “저희가 아직 학생 신분이란 걸 아는 분들은 모두 저희에게 호의적으로 대해주시고 또 많은 도움을 주셨어요. 어렵지 않게 도움을 청할 수 있다는 점은 처음 보는 퀘스트를 계속 깨야 하는 창업 과정에서 큰 힘이 됐습니다. 이 때문에 창업은 빨리할수록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태양계도 함께 죽은 것이었다. 다행히 얼마 지나지 않아 상석에 앉은 사람들도 토지를 모두 팔아버렸다는 소식이 들려왔고, 화성의 토지 가치는 순식간에 폭락했다.핍은 기사에게 말했다.“일단 백조자리 방향으로 가주세요.”택시는 미끄럽게 날아올랐다. 핍은 뒷좌석에서 눈을 감고서 앞으로의 ... ...
- [기획] 발자국에서 단서를 찾아라! 발자국 분석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분석된 발자국이 기존에 발견된 발자국인지, 새롭다면 비슷하고 다른 점은 무엇인지 모두 다 디테일하게 분석해 ‘신종’으로 등록한다”고 했어요. 다른 사람들이 발견하지 못했던 지구의 역사를 최초로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은 고생물학자의 큰 기쁨이지요 ... ...
- [기획] Q&A 한국은 공룡이 뛰놀던 낙원! 유네스코 등재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척추동물들의 발자국 화석을 만날 수 있어요. 발자국 화석이 있는 한국의 퇴적층은 모두 과거에 호수가 있던 곳인데, 호수는 백악기에 살던 동물이 모이는 장소라 생물 다양성도 아주 높아요. 발자국 화석이 풍부하게 발견되는 세계 유명 화석 산지에서도 대부분 생물의 종류가 최대 6~8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저 멀리 반짝이는 불빛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돌아간다!”프로보가 라일락 본부장에게 큰 소리로 보고했습니다.우주순찰대 본부에 모두가 모였습니다. 라일락 본부장이 딱지에게 말했습니다.“수고했다, 고딱지 대원. 덕분에 본부가 무사할 수 있었어.”“넓은마음은 어떻게 됐습니까? 탈출 비행선을 타고 도망쳤는데요.”“계속 우주선을 ...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논문에 쓰는 것도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와 협업하는 과정은 모두 정말 즐거웠어요. 그래서 속으로 계속 “내 생에 어떻게 이런 발견을 했을까! 이런 대단한 사람들과 협업을 할 수 있다니 얼마나 운이 좋아!”라고 생각했어요. Q 앞으로의 연구 계획이 궁금합니다.계속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좋은 동물원은 매일매일 새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자원 말이에요. 동물이 다양한 행동을 하며 즐겁게 지낼수록 동물의 신체와 정신 건강이 모두 좋아지고, 동물의 복지 수준도 높아지는 거랍니다. 동물 행동 풍부화, 어떤 종류가 있을까?동물 행동 풍부화는 크게 다섯 가지 종류로 나눕니다. 먼저 동물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서식지를 동물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오공, 부처의 손바닥을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돌 예정이에요. 마지막 아르테미스 3호 때는 우주인이 달에 직접 착륙합니다. 3단계까지 모두 완료되면 유인 화성 탐사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에필로그머리를 싸매며 집중하던 손오공은 마침내 탈출속도를 계산했어요. 손오공이 들뜬 마음으로 출발하려 하자 어디선가 하늘을 울리는 소리가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한답니다. 안개가 낀 날에는 마치 구름 속에 있는 기분이 들기도 해요. 구름과 안개 모두 수증기가 응결해 생긴 것이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안개는 지표면 가까이에 떠 있다는 점에서 구름과는 다르답니다. 순식간에 답해줌!Q. 표지는 어떻게 결정되나요?강서준A. 보통 해당 호의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