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여러분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 뭔가요? 노릇노릇 구운 스테이크부터, 겉바속촉 튀김까지. 인류는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끊 ... 맛있어 지리니Part2.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Part3.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아니라 파란색 빛도 긴 대기층에서 모두 산란돼 우리 눈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중에서 모두 사라져 버려요. 이때는 긴 파장인 붉은색이 대기층에 많이 존재해 우리 눈에 들어오죠. 하늘이 붉게 물들어 보이는 이유랍니다. 통합과학 넓히기노을 지는 순간, 햇빛에 숨어 있던 소행성 발견!우주에서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분자요리 굽고, 튀기면 식재료는 화학변화를 일으켜 색과 향, 맛이 모두 변합니다. 그래서 요리는 과학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지요. 1988년 프랑스의 화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의 물리학자 니콜라스 쿠리티는 요리의 이런 과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며 ‘분자 물리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왜 기후 연구를 하게 됐을까요? 부산대학교 기후과학연구소엔 대학과 대학원 모두 의류학과를 졸업한 의류학자 오정미 교수가 있어요. 이곳에서 오 교수는 기후변화와 패션의 관계를 연구하지요. 대학 시절 오 교수는 멋지게 디자인한 옷을 어떻게 하면 더 잘 팔지 연구하고 싶어서 의류학과 세부 ... ...
- [냠냠! 어수잼] 모두 몇 마리나 되는지 한번 세어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하기 위해 하나, 둘씩 모이다 보니 어느덧 우리 마을에 사는 모든 펭귄이 다 모였어. 모두 몇 마리나 되는지 한번 세어볼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방금 어디까지 셌지? 헉, 헉…. 한 마리씩 일일이 세려니까 너무 힘들어! 둘씩 서니까 수를 세기가 아까보다 편해졌어. 2, ...
- [냠냠! 어수잼] 세 자리 수를 알아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를 세기가 더 쉽네.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집으로 돌아가기로 한 펭귄은 모두 100마리야. 세 자리 수를 알아볼까? 펭귄이 10마리씩 서 있는 얼음덩어리 10개가 모이면 펭귄 100마리가 돼. 1이 10개면 10이고, 10이 10개면 100이거든. 펭귄 대신 얼음 조각으로 나타내보면 더 간 ...
- [꿀꺽! 수학 두 입] 클로버 잎 4개는 행운, 숫자 4는 불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한자 ‘죽을 사(死)’와 숫자 4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지요. 한자를 쓰는 한국, 중국, 일본 모두 4를 불운의 숫자로 여겨요. 그래서 세 나라에서는 건물의 층 번호를 매길 때 4 대신 영어 단어 Four의 첫 알파벳 F를 쓰기도 해요. 마찬가지로 서양 나라에서는 13 대신 영어 단어 Thirteen의 알파벳 T를 쓰거나, ... ...
- [도전 M! 체스마스터] 킹과 룩의 전략적인 움직임! 캐슬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룩에게 모두 유리한 전략인 캐슬링에 대해 알아보고 체스 마스터에 도전하세요! 킹과 룩이 한 번에 움직인다!캐슬링은 룩과 킹을 동시에 움직여 킹을 보호하는 전략이에요. 맨 아랫줄의 가운데 있는 킹을옆으로2칸움직이고,킹이움직인방향의룩은킹을건너뛰어서킹바로옆칸으로 이동해요. 룩이 ...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재밌을 것 같아요.” ‘양자역학적 순간이동’ 주제는 두 차례 걸친 독자위원 투표에서 모두 1등을 차지했습니다. 그 뒤로도 많은 독자들의 아이디어가 보태져 지금 여러분이 보시는 특집 기사로 완성됐습니다. 신년호부터 들어가는 연재 기획물 역시 마찬 가지입니다. 주태성 독자위원이 제안한 ... ...
- [과학뉴스] 뜨는 똥, 가라앉는 똥 장내 미생물이 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무균 쥐로 장내 미생물의 역할을 연구하던 중 배설물이 모두 물속에서 가라앉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인 쥐의 배설물은 절반가량만 가라앉는 것과 뚜렷한 차이였다. 나아가 무균 쥐가 일반 쥐의 대변을 이식한 뒤 배설하면 배설물의 절반가량이 물에 뜨는 것으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