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라고 한다.이 현상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최근까지 여러차례 이뤄졌다. 이 현상을
발견
한 이후 샤피로는 직접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이 현상을 확인하는 실험에 착수했다. 지구와 수성 사이의 전파이동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그는 지구와 수성 사이의 전파 이동선이 태양과 가까울수록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조류에 따라 전자기력이 변화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1949년 영국인 롱궤-히긴스는 이
발견
을 토대로 해저케이블의 전압을 측정하면 해협을 통한 바닷물의 이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석사논문을 발표했다.이어서 영국인 보우덴이 1953년 2월부터 1954년 6월까지 도버해협에서 해저 전화케이블을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대상속 등 여러 변연계 구조물들을 자극한 결과 성적인 흥분이 유발되는 사실을
발견
했다. 아마 인간도 성행위 도중 뇌의 이런 부위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드물기는 하지만 뇌의 이런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뇌파가 발생하는 간질 환자의 경우, 발작이 일어나는 동안 성적인 흥분 상태를 ... ...
만물박사에게 물어보세요 druniverse.wsu.edu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무슨 국물이요”라고 물었다. “다시마 국물이예요.” 이때 이케다 박사는 인류가
발견
하지 못한 기막한 맛이 다시마에 숨어 있지 않을까하는 호기심을 가졌다. 그리고 많은 실험을 거쳐 다시마에서 글루타민산소다를 찾아냈다. 이것이 국내에서 미원 또는 다시다로 널리 알려진 화학조미료의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것이다. 미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인 더클러스 어왼 박사는 “이번
발견
은 대멸종과 충돌이 관련 있음을 시사하지만 강력한 증거는 아닌 것 같다”고 평가했다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가깝다고 크리스찬센 교수는 주장했다.마이크로랩터 화석과 시조새에서 새로
발견
된 깃털 자국은 연구팀에게 깃털이 ‘비행의 진화’를 촉진했다는 확신을 줬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독특한 어깨뼈 관절과 강인한 손목 그리고 짧은 등과 꼬리의 진화가 새를 조금씩 강하고 활동적으로 날아다니도록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발표한지 2년 후인 1918년에 오스트리아 물리학자인 조세프 렌즈와 한스 튜링이 이 현상을
발견
했다.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지구와 같은 천체가 자전을 할 경우 그 주변 시공간이 천체의 회전방향으로 끌려 당겨진다는 것이다. 틀끌림 현상은 마치 우유에 초콜릿을 넣고 스푼으로 돌려 저으면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중요한 해양생물 자원이다.연안 해조류 다양성 감소 지난해 조사 결과 독도 연안에서
발견
된 해조류의 총종수는 45종이었다. 이 가운데 녹조류가 11 %, 홍조류가 60%, 갈조류가 29%로 홍조류의 종수가 훨씬 많았다. 종의 수는 채집시기나 채집장소, 채집방법, 해수의 환경 등에 따라 편차가 클 것이다.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천연물과학연구소 이윤방 교수는 쑥에서 위염에 효과가 우수한 성분인 유파틸린을
발견
했다. 실제 쑥 추출물이 위염 동물 모델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냈고 최근 국내 제약회사에서 위염 치료제로 개발해 시판되고 있다.이밖에 민간요법으로 쓰이던 재료에 대한 최근의 연구 사례는 수없이 많다.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셈이다.16개의 경석으로 1과 1/3 옥타브 영역 표현 고대중국의 유적지에서 편경이
발견
됐는데, 그 연대가 기원전 12세기까지 올라간다. 조선왕조에서 사용된 편경의 ‘ㄱ’자 모양은 하늘이 굽어 땅을 덮는 형상이라고 한다. 세종장헌대왕실록이나 악학궤범의 기록을 보면 경의 크기는 모두 같고 ... ...
이전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