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감소하면서 어체 소형화 추세 최근 한국 연근해와 주변 수역에 이런 남획의 징후들이
발견
되고 있다.우선 주변 수역의 어자원량이 감소 추세다. 1980년에 4천3백만t이었던 자원량이 1999년에는 2천8백만t으로 줄었다. 20여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준 셈이다. 어자원량 감소와 함께 총어획량도 줄고 있다. 198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1월 미국 노트르담대의 한국인 천체물리학자 이선홍 교수팀이 쌍성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
하면서 이전의 추측이 잘못됐음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우주에는 여러 별들이 쌍을 이뤄 돌면서 행성을 거느린 태양계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 태양이 2개라면’ 이라는 상상이 영 엉뚱한 ... ...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척추가 손상된 쥐에게 투여한 결과 척추의 감각, 운동신경들이 재생되는 것을
발견
했다. 또 치료 전에는 움직이지 못하던 쥐들이 거의 정상적으로 걸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감각기능은 회복하지 못했다. 브래드베리 박사는 “콘드로이티나제가 흉터 조직의 일부 분자를 파괴해 신경이 손상된 부위 ... ...
열대지방에서 동면하는 포유류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추위를 피해 동면하는 포유류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열대지방에서 동면을 하는 종이
발견
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연구를 이끈 필립스대 캐서린 다우스만 교수는 “이들이 잠을 자는 시기는 비가 거의 오지 않는 혹독한 건기에 해당한다” 며 “따라서 안전한 곳에서 몸의 에너지 소모를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나라의 북동지방인 함경북도 웅기(雄基) 근처의 패총(貝塚) 밑에서 구석기시대 문화층이
발견
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구석기시대 중에서도 전기(前期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별들이 많이 모인 이곳에 망원경을 들이댔는데, 뿌옇고 엷은 성운이 넓게 분포해 있음을
발견
했다.이 성운에 북아메리카성운이라고 이름 붙인 사람은 독일의 천문학자 막스 울프다. 사진이 천문학에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1890년 12월 울프는 하이델베르크에서 처음으로 이 성운의 사진을 ... ...
7백23만자리 소수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않고 컴퓨터를 가동했다. 1996년 GIMPS를 제창한 조지 울트만은 “최초로 1천만 자리 소수를
발견
하는 사람에겐 10만달러의 상금을 준다”며 “누구나 GIMPS(http://mersenne.org)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오이 뿌리에 정착시켰을 때 세균에 감염돼 오이가 시드는 사례가 크게 준 것을
발견
한 것이다. 이 세균성 시들음병을 전파하는 오이딱정벌레가 현저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딱정벌레는 오이가 내는 큐커비타신(cucurbitacin)이라는 화학물질로 먹이를 감지하는데 뿌리에 붙어있는 미생물이 그 함량을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밝혀졌다. 전설로 내려오는 바벨탑이라고 할 만한 규모다.이제 바벨탑이 우주에서
발견
된 이유를 알아보자. 사실 ‘우주 바벨탑’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특이한 성운 가운데 하나다. 탑의 꼭대기에는 우리 태양과 비슷한 규모로 태어났다가 거의 생을 마쳐가는 단계의 별이 있다. 신이 벌을 내린 것은 ... ...
익룡, 태아 화석
발견
으로 난생(卵生) 입증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정도로 잘 보존돼 있어 백악기 공룡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익룡 태아 화석을
발견
한 중국학술원의 왕샤올린박사와 주종헤 박사는 태아화석이 잘 보존된 것은 화산폭발과 같은 자연재앙으로 급작스런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또 태아 익룡의 날개 길이는 27cm로 알 전체 ... ...
이전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