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카페에는 개를 키우는 사람들끼리의 정보공유뿐 아니라 엉뚱한 하소연의 글도 심심찮게
발견
된다.- 반갑다고 품안으로 달려오는 강아지를 안아주다가 그만 불똥이 떨어졌어요.. 새옷인데.ㅠ.ㅠ- 전 그렇게 해서 못 입은 옷만 네 벌이에요.- 님, 네 벌 뿐 이라면 양호한 편인 거죠~ 저희 집은 태워먹은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오이 뿌리에 정착시켰을 때 세균에 감염돼 오이가 시드는 사례가 크게 준 것을
발견
한 것이다. 이 세균성 시들음병을 전파하는 오이딱정벌레가 현저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딱정벌레는 오이가 내는 큐커비타신(cucurbitacin)이라는 화학물질로 먹이를 감지하는데 뿌리에 붙어있는 미생물이 그 함량을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밝혀졌다. 전설로 내려오는 바벨탑이라고 할 만한 규모다.이제 바벨탑이 우주에서
발견
된 이유를 알아보자. 사실 ‘우주 바벨탑’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특이한 성운 가운데 하나다. 탑의 꼭대기에는 우리 태양과 비슷한 규모로 태어났다가 거의 생을 마쳐가는 단계의 별이 있다. 신이 벌을 내린 것은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런 형태의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측정한다.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반드시
발견
되는 또 하나의 특징은 실타래가 엉켜 있는 것 같은 모양의 신경섬유 덩어리다. 이는 신경전달물질의 세포 간 이동통로인 신경세포 돌기를 구성하고 있는 미소섬유관이 엉켜 생긴 것이다. 신경세포 안에 있는 ... ...
익룡, 태아 화석
발견
으로 난생(卵生) 입증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정도로 잘 보존돼 있어 백악기 공룡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익룡 태아 화석을
발견
한 중국학술원의 왕샤올린박사와 주종헤 박사는 태아화석이 잘 보존된 것은 화산폭발과 같은 자연재앙으로 급작스런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또 태아 익룡의 날개 길이는 27cm로 알 전체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걸쳐 A H 슈터트밴트가
발견
하여 명명했으며 식물에서는 33년에 G W 비들이 옥수수에서
발견
했다 이 인자는 실은 역위(逆位)이며, 그 존재가 재구성(再構成)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학적인 재구성이 일어나도 유전학적인 재구성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수혈할 때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 ...
최초 폰바이러스 '카비르'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보도했다. 러시아 보안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카스페르스키랩의 프랑스 법인이
발견
한 ‘카비르’(Cabir)가 그 주인공. 이 폰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전원을 켤 때마다 휴대전화 액정에 ‘Caribe’ 라는 단어가 나타난다.최근 휴대전화가 컴퓨터처럼 운영체제(OS)를 탑재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면서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람은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시에다. 그는 1764년 이 성단이 뿌연 빛들에 둘러싸여 있음을
발견
했다.성운과 성단이 함께 존재하는 매우 복잡한 형태인 M16은 천문학적으로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그래서 수많은 천문학자들을 매료시켜 왔다. 어떤 천문학자들은 독수리성운을 여왕별 성운이라고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물에 이산화탄소가 녹으면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액체상태의 물이 없는 성운에서
발견
된다는 사실은 다른 형성 메커니즘이 존재함을 시사한다.이번 관측을 이끈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기술연구소의 천문학자 알버트 지즐스트라 박사는 “흥미롭게도 이곳에는 작은 먼지 알갱이를 핵으로 해서 ... ...
돌고래 날쌘 헤엄의 비밀은 피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점을
발견
하고 영국 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터뷸런스’(Turbulence) 5월호에 발표했다. 이번
발견
은 좀더 빠르고 효율이 좋은 선박이나 잠수함을 만드는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과학자들은 돌고래가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의 몸매를 갖도록 진화했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돌고래의 부드럽고 ... ...
이전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