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헬륨이 전혀 없고 표면온도가 20만℃에 이르는 백색왜성이
발견
됐다.독일 튀빙겐대 클라우스 베르너 교수가 이끄는 천문학자들은 용자리 부근에 있는 별 H1504+65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고온의 백색왜성이며 헬륨을 갖지 않는 최초의 경우라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7월호에 보고했다.백색왜성은 ... ...
거미줄에 걸린 새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국내에서 거미줄에 잡힌 새의 진기한 사진이 최근 공개됐다. 사진은 산왕거미의 거미줄에 몸통이 달걀만한 새가 걸린 장면으로 농업과학기술원 유용곤충과 이 ... 강력해 새까지 잡는 새잡이거미가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새가 거미줄에 잡힌 모습이
발견
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 ...
세계 최소 척추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색소가 없으며 호주 동해안에서만
발견
된다.이 물고기는 1979년 호주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
했으나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분류되지 않다가 최근 ‘쉰들레리아 브레비핑기스’ (Schindleria brevipinguis)라는 학명을 얻었다. 수컷은 길이가 7mm에 불과하며 암컷은 평균 8.4mm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작은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지난 7월 1일, 우리나라 시각으로 오전 미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구(ESA)의 과학자들은 잔뜩 긴장을 하고 있었다. 17개국 2백60여명의 과 ... 계속 보시려면?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퍼레이드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
했나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토성궤도에 진입하는 ... ...
마린 테크놀로지로 '마린토피아' 를 꿈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본질이라고 얘기한다. 해양연구가 어느 한 분야에만 국한된다면 해양의 참모습을
발견
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다각적인 연구를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지난해 해양연구원이 30번째 생일을 맞았습니다.” 그는 30이라는 나이가 한발짝 앞으로 나갈 적절한 시점이라고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감소하면서 어체 소형화 추세 최근 한국 연근해와 주변 수역에 이런 남획의 징후들이
발견
되고 있다.우선 주변 수역의 어자원량이 감소 추세다. 1980년에 4천3백만t이었던 자원량이 1999년에는 2천8백만t으로 줄었다. 20여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준 셈이다. 어자원량 감소와 함께 총어획량도 줄고 있다. 198 ... ...
유럽 화성 탐사선 암모니아 가스 탐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여준다.그러나 지금까지 화성 탐사과정에서 활화산이
발견
된 적은 없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
된 암모니아 가스는 생명체에 의해 생겨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BBC는 지적했다. 마스 익스프레스는 3월 화성 대기에서 생명체 존재의 신호가 될 수 있는 메탄을 탐지한 바 있다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나라의 북동지방인 함경북도 웅기(雄基) 근처의 패총(貝塚) 밑에서 구석기시대 문화층이
발견
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구석기시대 중에서도 전기(前期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채수, 해류측정, 기상관측을 했다. 이 탐사에서 4천7백종이 넘는 새로운 해양생물이
발견
됐고, 당시로는 가장 깊은 8천1백80m 수심을 측량해 챌린저해연이라고 이름 붙였다. 챌린저호 이후 심해탐사가 줄을 이었다. 1950-1952년까지 수행된 덴마크의 갈라테아호 탐사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에도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사회성을 갖기 때문이죠.”오랜 개미 연구끝에 지난 1999년 처음 출간된 ‘개미제국의
발견
’ 은 그를 처음 대중과 만나게 한 계기가 됐다.하지만 원래 그는 영장류 연구에 더 관심이 있었다. 그러나 관련 연구자가 많은 미국에서조차 연구에 여러 한계가 많았다. 주위에서 모두 극구 만류하고 나섰다 ... ...
이전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