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발표했지요. 뇌의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옥시토신은 호감 가는 상대를 보았을 때 뇌하수체를 거쳐 혈액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주인이 반려견과 눈을 마주치며 시간을 보낼 때 사람과 반려견 모두의 옥시토신 수치가 증가했지요. 사람의 옥시토신 수치가 높을수록 반려견의 수치도 더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었다. 사람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한국산업기술대 학부생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전류로 ‘on’ ‘off’를 조절하는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한다. 일부 개들은 정신적으로 ‘아프기’ 때문에 폭발적인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 뇌에서 세로토닌과 같은 특정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지면 개들은 충동성 조절이 되지 않는다. 이런 개들은 수의사의 진단을 바탕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등과 같은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순위 500위 안에 3번이나 등재됐다. 20년 가까이 단백질을 연구하면서 장 교수는 뇌 조직에 찌꺼기처럼 쌓여서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지를 밝히는 등 중요한 연구 결과를 다수 발표했다. 최근에는 김상열 박사과정 연구원과 함께 신경망에서 ...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 결과를 통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신경염증질환이 뇌에 있는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결과인지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e라이프’ 10월 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7554/eLife.2973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주 동안 실험 잘 진행하셨나요? 실험을 잘 하는 것 보다는 재밌게 했는지가 더 중요해요.” 아직 더위가 가시기 전인 9월 중순, 서울 ... 좋아하는 것이 느껴져 함께 이야기를 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다”며 “뉴런이 국내 뇌과학 동아리의 구심점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 속에서 음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계를 통해 노폐물을 내보내고,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았지요. 4주 동안 새끼 양은 뇌와 폐를 비롯한 각종 기관이 문제없이 발달했고, 건강한 상태로 자랐어요. 몸에 하얀 솜털도 돋아났지요.이 새끼 양들은 사람으로 치면 임신 23주 정도의 태아에 해당돼요. 임신한지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이를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보카도, 렌틸콩, 아몬드 등이 이에 속한다. 니콜라스 데일 신경과학과 교수는 “띠뇌실막세포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냈을 뿐 아니라 건강하게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doi:10.1016/j.molmet.2017.08.01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