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선정돼 독일 막스플랑크 인간인지및뇌과학연구소(MPI-CBS)에서 올해 10월부터 1년 동안 뇌 영상처리를 연구하게 됐다. 출국까지 두 달 정도 남았는데, 열심히 준비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싶단다. “지금은 연구 생각뿐이에요.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 준비, 그리고 성과를 유지하기 위해 또 ... ...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앤더슨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팀은 총상으로 목 아래 전신이 마비된 에릭 소토의 뇌에 칩을 이식해 자신의 팔에 부착된 로봇 팔을 움직일 수 있게 했다. 에릭 소토는 손을 흔들거나 음료수를 마시는 등 간단한 동작은 물론 가위바위보 같은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몸에 여러 가지 칩이나 기기를 ... ...
-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지상세포를 이용해 사람의 뇌까지 침투합니다, 임신부가 감염되면 신생아에게 뇌수종, 뇌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만지는 것만으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서울대 수의대 연구팀이 2014년 서울과 인근에 거주하는 톡소포자충 감염 고위험군 673명을 조사한 결과, 감염률은 접촉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셀’의 자매지인 ‘몰레큘러 셀’에 발표했다. 임 교수는 “이런 특성이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Unique Tip 진학 생명 현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과서나 책에 얽매이기 보다는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령 DNA의 ... ...
- [과학뉴스] 뇌가 크면 외국어를 잘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유전자의 발현이 적은 사람들도 연구한 결과, 이 유전자가 발달한 사람에 비해 뇌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언어 학습능력이나 유창하게 말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신경세포가 아닌, 비신경세포도 학습 역할에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힌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지 마세요. 즐겁고 자신감 있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이나 자심감은 모두 뇌에서 나옵니다. 그런데 이 감정은 자기 암시 훈련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나는 잘할 수 있다’, ‘나는 잘 풀 수 있다’, ‘ 나는 머리가 좋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꾸준히 하세요. 그리고 스스로 만족할 수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뇌의 항스트레스지수)가 높아져 있었다. 걱정과 번뇌가 사라지니 행복감이 증가하고 뇌 기능도 향상됐다는 증거다.명상을 하면서 행복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마음을 비우고 잡생각을 버리면서 쓸데없는 불안과 걱정, 비교, 열등감 같은 부정적인 생각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나를 객관적으로 보게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2009년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가 인기를 끌자 각종 노래 경연 프로그램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쇼미더머니는 이런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랩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2012년 처음 방송을 시작해 올해 여섯 번째 시즌을 맞았다.엄격한 심사를 거쳐 예선을 통과한 지원자는 프로듀서와 팀을 이뤄 공연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고대인의 DNA에서 우리 조상을 어떻게 찾을까요? 바이오인포매틱스 연구자들이 해결합니다. 바이오인포매틱스는 생명현상을 수학, 논리학, 전산학을 이용해 파악하는 학문입니다. 수학 알고리듬이 입력된 슈퍼컴퓨터가 수천 개의 게놈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어 데이터 속에 숨은 정보를 찾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는 인공지능이 늘고 있어요. 구글의 ‘딥드림’도 그 중 하나랍니다.딥러닝은 사람의 뇌를 본뜬 알고리즘이에요. 수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와 정답 사이의 거대한 연결망을 만들어 정답을 찾는 거지요. 이때 답과 연관성이 높은 정보는 연결을 강화해요. 예를 들어 사진을 보고 악어를 구분하는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