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뇌"(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같은 신축성을 지원한다. 이영희 단장은 "앞으로 터널링 메모리를 시냅스로 사용해 뇌세포의 신호 전송 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후속 연구가 완성되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디지털기기에서 알파고와 같은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 소비와 발열은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시스템즈 바이올로지(Molecular Systems Biology)'에 게재됐다. 그는 "광우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조기 진단이 중요한데, 이 연구를 통해 유전자 수준에서 조기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진단 마커 뿐만 아니라 광우병 치료를 위한 약물 타깃 후보 물질까지 제시할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이 연구성과는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서 자폐 치료 실마리 발견 03.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뇌 속 100조개 시냅스의 조절 원리를 밝히다 04.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 음식물의 장내 면역 반응 억제 원리 규명 05. RNA 연구단 | 생명 활동의 조절자 꼬리를 드러내다 06. RNA 연구단 | 마이크로 RNA 탄생의 비밀을 ...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2016.12.21
- 지나치게 모자라면 혈압과 수분 조절 이상, 소화불량과 우울증, 심각하면 뇌경색이나 뇌출혈까지 초래할 수 있다.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이 있다? 흔히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HDL 콜레스테롤은 쓰고 남은 LDL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LDL ...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있으니 짠맛이 부족하다 느낄 때 소금 대신 사용하자. 입자가 작을수록 입으로 녹아 뇌로 맛을 전달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소금 입자가 고운 것을 쓰면 적은 양으로도 더 많은 짠맛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칼륨은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칼륨함유량이 높은 생과일, 푸른 채소, ... ...
- 쌀쌀한 날씨와 함께 찾아오는 우울감, 그 이유는?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유도하는 '멜라토닌'의 분비는 증가하면서 잠이 늘어난다. 여기에 체온 조절을 관장하는 뇌의 '시상하부' 능력이 일반인들보다 저하된 상태라면 계절성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은 더 커진다. 시상하부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제대로 감지 못하고 잘못된 명령을 내리면 세로토닌이나 멜라토닌 ... ...
-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IBS l2016.10.31
-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인간의 뇌,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미지의 세계 - IBS 제공 ... ...
- 말 못 할 고민, 과민성 방광2016.10.21
- 질환과 전립선이나 신경계 질환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특히 뇌종양, 치매, 파킨슨병, 뇌혈관 질환, 디스크, 척추관협착, 말초신경병증 등은 하부 요로계를 조절하는 신경계를 손상시켜 과민성 방광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노화도 이유다. 나이가 들면 방광은 탄력을 잃고 딱딱해지면서 ... ...
- 다이어트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온몸의 세포 하나하나를 움직이게 하는 생명체의 중요한 에너지원이기 때문이다. 특히 뇌는 탄수화물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단당류 중포도당만을 에너지로 사용한다. 결국 탄수화물은 건강한 신체 활동을 위한 필수 영양소라는 말이다. 단, 정제된 설탕이 많이 들어간 식품이나 밀가루 음식은 ...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하워드휴즈연구소의 하나인 자넬리아 연구소(Janelia Research Farm) 등은 고심도 이미징을 뇌과학에 응용하는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이미징으로 생체 조직 깊은 곳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데 있어서는 최 부단장 연구진이 현재 세계 최고 수준에 있다. 최 부단장은 더 나아가 단일 산란뿐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