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절이 가능한 다른 이온채널들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 영역과 신경회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이용해 난치성 질병을 치료하는 미래를 위해 과학자들은 지금 이순간에도 쉼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음식-영양소+찌꺼기=똥’.섭취한 음식을 치아로 잘게 부수고 삼키면 산성도가 높은 위로 이동한다. 이후 소장에서 영양소를 흡수하고 남은 찌 ... 특성을 쉽게 설명하고, 이 특성을 나타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뇌 영역을 설명하는 등 뇌과학과 행동생태학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푼다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면서 전자약 연구는 활기를 띠고 있다. 비만 치료용 전자약은 뇌와 위 사이에서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극해 식욕을 조절한다. 최근에는 우울증과 파킨슨병 치료에도 전자약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 교수는 “전자약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점이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에서 열린 마이크로칩 파티지난해 8월 1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IT기업 ‘쓰리 스퀘어 마켓’에서 특이한 파티가 열렸어요. 바로 직원들의 손에 마이크로칩을 심는 ‘칩 파티’ ...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해서 만든 반도체예요. 실제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날개의 금속 탐침 덕분에 바람을 감지하며 비행할 수도 있고, 흔들리는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특히 가족력이 있는 과체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DNF는 배가 부르다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다. 이 유전자들의 SNP 차이가 타고난 체질량지수의 위험도를 결정하는데, 기자의 경우 3개 유전자에서 과체중과 관련한 SNP 개수가 한국인 8800명의 유전자-실제 체형 분석 결과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실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심장 외에도 세포 자멸이 꼭 필요한 기관 중 하나가 바로 뇌입니다. 신경세포는 다른 신경세포들로부터 자극을 받고 전달하기 위해 짧은 수상돌기(dendrites)와 긴 축삭돌기(axon)를 뻗어내는데요. 발달 과정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를 치듯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직업의 하나로 보는 추세다. 2017년 1월, 미국 피츠버그의 리버스카지노에서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이 20일 동안 대결을 펼쳤다. 세계 최고 프로 포커 선수에게 덤벼 든 상대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포커AI 리브라투스다. 리브라투스는 카네기멜론대에서 게임이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했지요. 라오 교수가 버튼을 누르는 상상을 하자, 모자의 전극은 뉴런에서 나오는 뇌파를 감지해 자기장 신호로 바꿨어요. 그리고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실험실에 있는 스토코 교수의 모자전극으로 이 신호를 전달했지요. 그러자 스토코 교수는 무의식적으로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움직여 키보드를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잠을 자기 때문에 꿈을 잘 꾸고, 안구 운동이 빠르게 일어나요. 반면 ‘비렘수면’은 뇌가 깊은 잠을 자는 상태예요. 꿈을 꾸기는 하지만 눈을 떴을 때 기억하지 못하지요. 같은 반 친구들의 수면 시간을 설문 조사하면서 잠에 대해 더 공부해 보았어요. 이번 계기로 적절한 시간 동안 깊이 자는 것이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