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면"(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완전 기대 새학기 생활! 수학은 공평해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좌표는 직교 좌표라고도 하며 서로 수직인 x축과 y축을 이용해. 교실을 위에서 본 모습을 평면이라고 생각하고 x축과 y축을 정해 봐. 교실 한 가운데를 (0,0)으로 두고 위치를 알아보렴. 그러면 교실에서 내 위치가 (2,3)에 있는지 (-3,1)에 있는지 위치를 정확히 말해 줄수 있어. 교실 어디에 있더라도 두 ...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때문에 현실 세계를 표현할 수 없었지만 인간의 창의성이 인정되면서 화가들은 2차원 평면 위에 3차원 세계를 사실처럼 표현하려고 했답니다. 대표적인 기법이 바로 원근법이죠. 이제는 3D 영화!3D 영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만드는 3D와 보여 주는 3D입니다. 만드는 3D는 영화 속 캐릭터를 ... ...
-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이 그림은 원통에 고양이를 그린 다음 그 원통을 잘라서 평면도처럼 펼쳐 놓은 거구나. 평면이 아닌 곡면에 그림을 그리다니, 상상력이 대단해!이런 걸 ‘아나모르포시스’라고 한다옹!깜짝이야! 넌 누구야?난 파울 쿨레의 ‘고양이와 새’에 나오는 마법 고양이 ‘냥냥’. 너희 덕분에 방금 ...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세 번째 문제는 매우 단순하다. 높이와 밑면의 넓이가 같은 두 사면체 A, B가 있을 때 평면의 면적의 경우처럼 A를 여러 조각으로 나눠서 그 조각들을 B가 되도록 재조립하는 게 ‘항상’ 가능한가. 이 물음은 삼차원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생각보다 간단히 ... ...
-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2호
- 갑자기 변신을 할 거래. 무슨 얘긴지 모르겠지만 아저씨 이야기를 더 들어 볼까?“2차원 평면처럼 납작한 이곳의 주민들은 띠 자체를 공간이라고 생각해. 행성 두께가 곧 공간이 되는 거지. 뫼비우스 띠 두 개를 만들어 겹친 후 띠와 띠 사이를 살짝 떨어뜨리면 생기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돼. 결국 ... ...
-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수학동아 l2010년 02호
- 어떻게든 3차원 공간에 살고 싶었던 클라인 병은 살아남을 궁리를 했지. 직사각형 모양의 평면으로 원기둥을 만들고 양쪽 끝을 붙였어. 그런데 양쪽 끝을 그대로 붙이면 도너츠 모양이 돼 버리는 거야.이리저리 궁리한 끝에 클라인 병은 뫼비우스 띠처럼 180° 꼬아서 들어가는 방법을 시도해 보기로 ...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장치 로 몇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니 실용적이라는 말은 이럴 때 쓰는 게 아닐까.평면적인 디자인으로 입체적인 몸을 살뜰히 감싸 는 옷, 한지라는 소재의 특성을 이용해 방한효과를 높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옷, 위가 뚫린 모자와 솜 을 넣은 버선으로 두한족열이라는 건강 원리를 충 분히 ... ...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공식과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면 쉽게 삼차방정식이 나온다. 당시 사람들이 그런 평면을 작도하려 했던 것이다.흥미롭게도 초승달 모양과 같은 넓이를 가지는 이등변삼각형은 쉽게 작도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시작하면 원과 같은 넓이를 가지는 정사각형을 작도하는 문제를 생각하는 것도 ...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수학동아 l2010년 02호
- 이 값이 같은 도형은 모양은 달라도 성질이 같은 도형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평면도형은 이 식의 값이 1이다. 고무공을 늘이거나 줄여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입체도형의 이 값은 2다.닫힌 곡선 원과 연결 상태가 같은 곡선이 닫힌 곡선이다. 실로원 모양의 띠를 만들고 실의 양끝을 떼지 않고 ...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달릴 순 있지만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해 둔 로봇이다. 플레이너는 평면, 즉 2차원이라는 뜻이다.이 로봇을 이용해 다시 지루한 반복실험을 계속했다. 실험을 하다 과열된 기계가 타 버리는 날도 종종 있었다. 양 다리를 교차시키는 속도를 바꿔보고, 발을 땅에서 들어 올리는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