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d라이브러리
"
평면
"(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멀어집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3차원 좌표를 생각해 보겠습니다.y축과 z축으로 이루어진
평면
을 거울면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여러분은 x축 위에 있습니다. 이 때 거울에 비치는 여러분의 모습은 똑같이 x축 위에 있으면서 거울면의 반대쪽에 있습니다.이제 이해가 가나요?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은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공부할 때 자주 보는 단어 하나를 영어로 알아보자. 바로 전개도! 공간 도형을
평면
으로 펼쳐 그린 그림을 뜻하는 전개도는 development figure라고 부른다.지금까지 공간도형에 관한 여러 명칭과 어원을 살펴보았다. 가끔 고등학생 수준의 단어도 나와 어려울 것이다. 그런 단어까지 자신의 우아한(?) 지적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만들었다. 과학자들은 메타물질에 얇은 금박을 씌우고 이 금박을 움푹 패게 했다. 보통의
평면
형 투명망토는 움푹 들어간 부분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입체 투명망토는 움푹 팬 형태가 보이지 않는다.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이 역시 완벽한 투명망토와는 아직 거리가 있다는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정리를 적용해도에서 (첫째 식)-(둘째 식)은 일차방정식 4Rx-2Ry-2Rz=0을 주는데, 이는
평면
2x=y+z이고 게다가 사용자는 지구 표면에 있어서 결국 원이 나온다. 사실은 방정식이 5개나 있기 때문에 복잡하게 보이는 것들은 이처럼 사라지고 단순히 1개의 이차방정식을 풀면 위치결정 문제는 즉시 해결된다.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직선은 물론 원이나 타원, 포물선 등의 곡선도 점의 위치를 보여 주는 방정식만으로 좌표
평면
위에 쉽게 나타낼 수 있다.과학탈레스는 자연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을 추구한 첫 번째 과학자로 일컬어진다. 가장 큰 공헌은 처음으로 세상을 이루는 근본 물질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탈레스는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보자. 흔히 포물선이라고 하면 그냥 불룩하게 생긴 모양을 생각한다. 하지만 포물선은
평면
위에 고정된 점(초점)과 초점을 지나지 않는 직선이 있을 때 초점과 직선으로부터 거리가 똑같은 점을 모은 곡선을 말한다.포물선에는 여러 가지 성질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축과 평행한 직선이 포물선에서 ...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넣는 방법이다. 순서쌍은 영어로 ordered pair이다. 순서쌍을 좌표로 하는 점 전체를 좌표
평면
위에 나타낸 것을 함수의 그래프라고 한다.함수 f :X→Y가 일대일 대응일 때 Y를 정의역으로 X를 공역으로 갖는 새로운 함수를 얻을 수 있는데 이 함수를 f의 역함수라고 한다. 역함수는 기호로 f -1이다. ... ...
과학교과서에서 찾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쓰는데, 그래프도 수학과 과학에서 모두 자주 쓰는 도구다. 수학에서는 주로 함수를 좌표
평면
위에 나타낸 그래프를 많이 다룬다. 과학에서는 조금 다르게 과학적인 현상을 그래프로 나타내 여러 요소의 변화와 관계를 쉽게 보여 주기 위해 그래프를 많이 쓴다. 다음 두 그래프를 보자. 두 개의 ... ...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수학과의 아펠과 하켄 교수는 네 가지 색깔이면 충분하다는 ‘4색 문제’를 증명했어.
평면
을 어떻게 쪼개든 네 가지 색깔이면 서로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야.2 사람이 한 번 보고 인식할 수 있는 숫자는 몇 개일까? 심리학자들은 어른이나 아이 상관없이 모두 4개 정도라고 말해. 다섯 자리 이상의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➌ 입사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굴절률은 항상 일정하다.스넬은 이처럼 광선을 한
평면
위에 있는 선분으로 가정해 굴절할 때의 각도를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빛이 굴절할 때 입사각과 상관없이 선분AB와 선분CD의 비가 언제나 똑같음을 밝혔다.✚정확한 측정이 이룬 화학 혁명18세기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