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뉴스
"
평면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태양광이 유럽 전력 비용 15% 절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발전 기술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허 교수는 "먼저 기술적으로 어느 정도 준비된
평면
배열을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더 높은 효율을 가진 헬리오스타트 기술의 연구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doi.org/10.1016/j.joule.2025.10207 ... ...
우주서 방향 잃지 않는 로봇 나침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정확하게 인식하고 유지하는 능력이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하면 지능적으로 선과
평면
을 선별해 로봇이 3차원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복잡한 환경에서 정확하게 자율 비행이 가능한 핵심 기술이 확보된 것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로봇의 회전 정확도를 ... ...
원전 폐수 속 삼중수소, 상온 액체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9
제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그래핀에 주목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2차원
평면
을 이루는 탄소 동소체다. 그래핀은 원자 한 겹 두께에서 양성자만 통과시키고 삼중수소를 포함한 다른 방사성핵종은 차단하는 분리 능력이 있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한 분리막을 만들었다. 고분자 ... ...
좌우로 빛 분리하는 광학 기술…디스플레이 화질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8.04
공정이 필요한 3차원 구조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공명 품질인자 조절이 단순한
평면
구조 설계만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술적 차별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며 "이 연구는 편광 기반 광원 제어, 고감도 바이오센서, 양자광학 소자 등 다양한 광기반 응용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 ...
[재생의료 최전선]⑧ 파킨슨병 진행 되돌리는 세포치료제로 세계 시장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생착률·유효성 끌어올린 FECS 기술 에스바이오메딕스가 개발한 FECS 기술은 2차원
평면
위에 흩어져 있던 단일 세포들이 24시간 이내에 자가 조직화 과정을 통해 3차원 스페로이드(세포 응집체)로 전환되도록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들은 서로 강하게 결합하며, 생체 내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 ...
최고과학기술인상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메모리반도체 분야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AI)의 데이터 처리를 해결하기 위한 메모리 반도체 소자의
평면
집적도 발전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시작으로 부피 집적도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 HBM은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좁히는 대신 소자를 3차원(3D) 구조로 쌓아 올린 메모리다. 황 교수는 현재 ... ...
계단에서 길 잃던 로봇에 '방향감각'을 불어넣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SLOPe는 로봇이 주변 환경에서 벽 모서리 등의 '하나의 선'과 바닥면 등의 '하나의
평면
'만 인식해도 자신의 방향이 어떻게 기울어져 있는지를 상하, 좌우, 회전 방향 세 가지 회전 축에서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알고리즘이다. 계단이나 경사로처럼 구조가 복잡하고 수평·수직 기준이 ... ...
싱크홀 부르는 도로 균열, 미래엔 '혼자'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25.06.14
땅속 빈 공간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노 주무관은 "지하 공동은 탐측한
평면
에 이상 신호가 있는 점"이라며 "공동 탐사는 도로라는 삼차원 공간에서 공동이라는 점을 찾는 과정"이라고 소개했다. 조사 가능한 최대 깊이에 관한 질문에는 "지표면에서 2m 아래까지 (탐측이) 가능하다"고 노 ... ...
가로세로 양방향 열전달하는 방열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내에서 이분화하는 방법으로 양방향 열 분산에 성공했다. 질화붕소 μ-플레이트릿은
평면
방향 열전도성, 수직 방향 열전도성이 우수해 정렬 방향에 따라 다양한 열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구를 이끈 김태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방열 소재는 차세대 고전력 전자소자의 성능 및 수명을 ... ...
진짜 뇌 같은 3D프린팅 인공 뇌 개발…알코올 주입하자 치매유발 단백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재현해 뇌 세포 손상, 뇌 질환 발생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개발된
평면
적인 세포 배양 방식이나 줄기세포 기반 장기 유사체(오가노이드)는 아직 실제 뇌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3D 바이오프린팅과 전기 자극을 이용한 ‘생명공학 신경망’(BENN) 응용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