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듣고 타르탈리아에게 찾아가 방정식의 해법을 알아냈다. 카르다노는 타르탈리아의 공식에서 영감을 얻어 삼차방정식의 일반해를 완전히 증명하는 데 성공했고, 이를 책으로 출판했다. 복잡한 치환을 거쳐 유도된 x3=px+q의 일반해는 아래와 같다.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허수를 사칙연산에 적용한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머리뼈의 여러 특징들에 점수를 매겨 머리뼈가 남성(혹은 여성)일 확률을 계산하는 공식을 자주 사용한다.일상적인 활동에 영향 받지 않는 치골 뼈로 연령 추정모든 사람의 뼈는 대체로 비슷한 과정을 거치며 자란다. 원하든 원치 않든 일정한 나이가 되면 영구치가 나고, 일정한 나이가 될 때까지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리고 1971년에는 수컷 한 마리만 남았다. 그게 바로 외로운 조지였다.2014년까지 공식적으로 보고된 파충류의 종류는 1만 38종. 이중 약 30%가 우리 인류 때문에 멸종할 위기에 있다. 비록 핀타섬육지거북은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수백 종의 파충류들이 남아 있다. 3억1000만 년 된 ... ...
- [Editor’s note] 올림픽을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겁니다.기획 기사에서는 그런 선수들이 이뤄낼 결과를 예측해 봤습니다. 감히 몇 줄의 공식으로 꿈과 노력을 계산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럼에도 최대한 논리적으로 식을 세우고 풀어보는 건 수학자의 꿈이려니 생각해 주세요.이제 곧 수많은 사람들이 TV 앞에 모여 앉아 환호성을 지르는 순간이 올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동물학과 건물. 존 메이나드 스미스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4월 2일, 전국 599팀, 2306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맞이한 4기 지구사랑탐사대의 공식 활동이 시작됐어요. 바로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에서 열린 발대식이었지요. 이날 참석한 600여 명의 대원들은 축제처럼 즐겁게 지사탐 활동에 대해 배우고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시간을 가졌어요. 4기 ... ...
- PART 2. 올림픽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원의 반지름을 rm라 하자. 그러면 첫 번째 트랙 둥근 부분의 길이는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에 따라 2πrm다.두 번째 트랙도 마찬가지로 계산해보면 2π(r+1)m다. 같은 식으로 나머지 트랙들도 반지름이 모두 1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각 트랙은 2π(r+1) - 2πr = 2π(r+2) - 2π(r+1) = … = 2πm씩 차이가 나게 된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나 이전에도 바둑을 두는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있었어. 하지만 인간 챔피언과 공식적으로 대결해 이긴 인공지능은 없었대. 그건 바둑이 ‘인공지능이 도전할 수 있는 최후의 영역’으로 여겨질 만큼 엄청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야.바둑은 가로,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흑과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포함해 크고 복잡한 새 생명체가 지구에 등장할 수 있었다.연재 중인 ‘전중환의 협력의 공식’에서도 공존을 만날 수 있다.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다뤘는데, 이는 곧 공존을 가능하게 한 이타성의 기원이다.정기독자에게 제공하는 인포그래픽 브로마이드 ‘5분 사이언스’에도 공존의 사례가 있다.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행동한다. 그런데 치사하게도(?) 필자는 왜 그렇게 되는지는 알려주지 않았다. ‘협력의 공식’의 핵심을 직관적인 그림 모델로 이해해 보자.122쪽의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먼저 사회적 행동이 아닌 형질을 만드는 유전자다(그림1). 예를 들어, 잘 익은 과일처럼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