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두 온도 사이를 180등분 한 온도예요. 사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섭씨온도를 온도의 공식 단위로 쓰고 있어요. 화씨는 미국을 비롯한 극소수의 국가에서만 사용하고 있지요. 화씨온도를 보고 몇 ℃인지 혼란스럽더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섭씨온도와 화씨온도(℉)는 서로 바꾸어 계산할 수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색다른 선택은?여러 이론을 접하는 학자들은 기타 선택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공식을 뽑기도 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디락 방정식’을 최고의 방정식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자연의 기본 입자인 쿼크와 전자의 행동을 기술하는 이 방정식이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9단이 불리한 상황에서 보여줬던 ‘눈부신 추격’을 다시는 못보게 될 것이다.직관의 공식화, 또 다른 직관을 낳는다알파고는 신비의 영역이라고 불리는 중앙 싸움에서도 계산 능력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거했다. 바둑에서는 확실히 집을 낼 수 있는 변과 귀가 요충지다. 변과 귀는 다른 지역과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시간의 진화를 결정하는 방정식이 있어야 하는데, 양자우주론에는 누구나 인정한 특별한 공식이 아직 없다(후보만 많은 상황이다).이는 ‘불확정성’이라는 양자역학의 본질과 관련이 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입자의 운동량과 위치를 둘 다 정확히 아는 건 불가능하다. 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 ...
- [지식] 선거 개표의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베르트랑의 투표용지 정리’라고 부릅니다. 위트워드보다 10년 늦게 독자적으로 이 공식을 증명한 프랑스의 수학자 조제프 루이 프랑수아 베르트랑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비록 증명은 늦었지만, 베르트랑 덕분에 이 문제가 유명해졌거든요.이번 선거에서도 초박빙의 승부가 이어지다가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회를 석권한 일본 리쓰메이칸대 ‘아이스봇(Ice_bot)’은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수학공식을 활용해 대규모 병력을 자연스레 움직였다. 프랑스 낭트대 ‘아이어(Aiur)’는 대회 초반에는 승률이 60%에 머물렀지만, 동일한 상대와 90번 대결을 펼친 뒤에는 상대에게 맞는 전략을 선택하여 73%로 승률을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할지에 대해 연구하고 논의했다. 그리고 올해 10월, 국제층서위원회(ICS)는 인류세를 공식적으로 도입할지를 두고 투표를 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무난히 투표를 통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지질시대 나누는 핵심, ‘생물’인류세에서의 ‘세(Epoch)’는 지질시대를 나눌 때 쓰는 시대 단위다. ...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올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생소한 신규 직군이 등록됐다. 바로 ‘디지털 장의사’.디지털 장의사가 하는 일은 개인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의 기록을 지 ... 한국평판협회 자격검정팀 관계자는 “현재 교육과정은 마련돼 있는 상태로, 올해 4월에 공식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알파고는 판 후이와의 대결에서 아직 부족한 모습을 여러차례 드러냈다.위 그림은 공식 대국의 두 번째 판으로 알파고가 흑이다. 이 바둑은 백(판 후이)이 초반에 일명 ‘큰 눈사태’ 정석 진행 과정에서 불리한 진행을 택한 데다, 무리수인 백62가 흑65에 끊겨 백 석 점이 잡힌, 흑(알파고)이 아주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편집자가 유명 과학자와 기업인, 작가 등이 학문적성과와 견해를 자유롭게 나누는 비공식 모임 ‘엣지재단(edge.org)’을 만들었는데, 몇 해 전부터는 여기서 오간 대화를 주제별로 엮어 책으로 내고 있다. 이 책은 ‘마음의 과학’, ‘컬처 쇼크’, ‘생각의 해부’에 이은 네번째 책으로, 우주론을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