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무선 충전, 전기 자동차, 그리고 아직은 상상일 뿐인 우주발전소 같은 건 수학자 없이는 있을 수 없었을 겁니다. 그렇다면 수학자의 임무는 끝난 것일까요? 현재 우리는 전기가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습니다. 이제 수학자들은 더 편리하고 똑똑하게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만 34편의 논문을 낸 깃털공룡 화석 분야의 석학이지요.공식적으로 시조새가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기 시작한 건 지난 1861년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이후였어요. 시조새는 깃털을 이용해 하늘을 날면서도 새와 파충류의 모습을 모두 갖고 있어요. 그래서 시조새를 공룡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대장이다, 하하하~!”비밀과학집단의 정체가 밝혀지는 순간이었어요.“지금부터 우리는 공식적으로 비밀과학수사대에게 대결을 신청한다!”“대결이요? 무슨 대결을 한다는 거예요?”“그건 따라와 보면 알겠지, 후훗~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에 대해 공식 결의안을 만들어 채택했답니다. 이 공식 결의안은 유엔환경계획(UNEP)에 전달할 예정이에요.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기자입니다. 총회가 열리기 전, 9월 24일에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쓰레기 처리 방법을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고, 가장 일을 적게 하며 피아노를 옮길 수 있는 방법을 수학 공식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찾는 거지요.그냥 사람 눈으로 봐서 적당히 옮기면 되지 왜 알고리즘까지 짜냐고요? 피아노를 옮기는 것처럼 공간의 생김새에 맞춘 물체의 이동 경로를 계산하는 걸 ‘운동 계획 ... ...
- [수학 뉴스] 숫자, 음악의 과거를 쫓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발음하는 길이를 활용해 언어의 특징을 설명하던 수학 공식입니다. 음악학에 쓸 때는 nPVI 공식을 수정해 음의 길이를 기준으로 리듬이 얼마나 변하는지 분석했지요.한슨 박사는 “앞으로 연구할 기간과 곡 수를 늘려 더 정교한 결과를 얻는 쪽으로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계 유명 박물관의 인기 전시품으로 등장했다. 현재 홍연석은 태즈메이니아 주의 공식 광물 엠블럼으로 지정돼 있을 정도로 이 지역의 대표 광물이다. 여러 벤처 광산 중에서도 가장 성공한 곳은 애들레이드 홍연석 광산으로, 현재 수집용 표본의 95%를 채굴해내고 있다.사진 속 홍연석에 생존자라는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빠른 속도로 계산하고, 계산이 끝나면 저절로 결과를 저장하고 출력해 줘요. 잘못된 공식이 들어오면 큰 소리로 벨을 울려요.자료를 입력받아 계산, 저장, 출력하는 방식이 컴퓨터와 꼭 닮았죠? 해석기관은 컴퓨터의 기본적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었어요. 그래서 찰스 배비지를 ‘컴퓨터의 ... ...
- [과학뉴스] 허블 뒤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완성과학동아 l2016년 12호
- NASA)이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을 완성했다고 11월 2일 공식 발표했다. 개발에 돌입한 지 무려 20년 만이다.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18개의 거울을 모은 주경의 지름이 6.5m로 허블우주망원경보다 2.7배나 크며, 적외선 관측에 취약한 허블우주망원경을 대신해 심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NASA는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자리 잡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이미 겨울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었다. 아직 공식 개장을 하지 않아 관람객이 없는 수목원 안 깊숙한 곳으로 차를 몰고 들어가자, 마치 버섯처럼 생긴 건물이 땅 위로 불쑥 솟아 있었다. 산림청이 만든 세계 두 번째 종자저장고 ‘씨드볼트’로 들어가는 입구였다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