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맑으면 복사냉각이 활발해진다. 이렇게 생성된 안개는 해가 뜬 다음 온도가 올라가면서
작은
물방울이 증발하면서 없어지고 맑은 날씨로 이어진다.⑤개미가 진을 치면 비가 온다개미가 한 줄로 바쁘게 왕래하는 모습을 진을 친다고 하는데, 알을 물고 풀숲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개미가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V자 모양을 그리고 있는 히아데스 성단이 있다.플레이아데스에는 보일 듯 말 듯 깜박이는
작은
별들이 ‘물음표(?)’ 모양으로 모여 있는데 우리 할머니들은 ‘좀생이별’이라고 불렀다. 플레이아데스가 몇 개의 별로 보이는지 세어보자. 5-6개가 보인다면 보통 눈, 그보다 많으면 밝은 눈이다. 눈이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남을 따라 행동하는 일을 레밍효과(lemming effect)라 한다. 여기서 ‘레밍’은 다리가 짧고
작은
귀에 부드럽고 긴 털을 가진 설치류 레밍쥐에서 따온 말이다.노르웨이에 사는 레밍쥐(Lemmus lemmus)는 보통 쥐와는 다른 괴이한 행동을 한다. 레밍쥐의 집단은 3-4년만 지나면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그리고 각 층은 바둑판처럼 여러 개의
작은
면적으로 분할된다. 그러면서 대기는 수많은
작은
상자들로 구성된다. 그 상자가 컴퓨터가 분석할 수 있는 최소 단위다. 이 상자가 작아질수록 대기의 움직임은 보다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다(그림1). 물론 계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은 있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겹치는 시력을 갖고 있지만, 완전히 발달된 쌍시력(binocular vision)을 갖고 있는 공룡은
작은
육식공룡들이었다. 이들의 뇌는 특히 앞발의 움직임을 조정하고 움직이는 물체에 관한 시각정보를 조화있게 조절하는 부분이 잘 발달돼 있다. 이러한 능력은 트루돈(Troodon)같이 매복해 도마뱀이나 포유류를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들어 지진 발생횟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90년대 들어 관측망의 확충으로 크기가
작은
지진까지 관측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 규모 2.0-4.0의 미진들이기 때문에 단순히 발생횟수만으로 지진활동의 변화추이를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것이 교과서가 의도한 것이었을까. 정말 교과서의 의도가 잉크는 밀도가 커서 밀도가
작은
물 아래로 가라앉고, 오랜 시간을 두었을 때 잉크가 물 속으로 골고루 퍼져 나간다는 것으로부터 물 또는 잉크분자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추리하도록 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닐 것이다.교과서의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여성이라는 이유로 대학에서 자리를 얻지 못했다.그러나 그녀는 포기하지 않고 집에다
작은
실험실을 만들었다. 그리고 루리아, 둘베코, 그리고 자신을 지도했던 레비 교수(훗날 남편이 됨)의 권유로 닭의 배(embryo)를 연구했다. 그런데 그녀의 연구가 빅토르 함부르커교수의 눈에 띄게 되어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그렇기 때문에 합성 의약품의 개발이 항상 성공적이지만은 않다.1950년대 말에 독일의
작은
제약회사였던 그뤼넨탈은 다이아제팜이나 바비탈과 구조가 매우 비슷한 물질을 합성한 후 ‘탈리도마이드’라고 이름지었다. 그뤼넨탈은 엄격한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분자의 구조가 알려진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아냈다. 화성까지의 거리를 이용해 카시니가 계산한 태양까지의 거리는 실제보다 약 7%
작은
값이었다.영국의 에드먼드 핼리는 금성이 태양면을 지날 때 유럽 각지의 천문대와 멀리 인도의 케이프타운에 관측단을 보내 태양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구하고자 애썼다.오늘날에는 달과 화성의 표면에 ... ...
이전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다음
공지사항